
30일 UNIST에 따르면 생명과학과 이자일 교수팀(사진)은 단분자를 시각적으로 이미지화하는 ‘DNA 커튼’ 기술을 사용해 DNA 복제 과정을 실시간 이미징했다.
연구팀은 세계 최초로 DNA 복제와 알룹(R-loop) 또는 전사 단백질과의 충돌을 직접 관찰, 분자생물학의 오랜 숙제였던 ‘복제-전사’, ‘복제-알룹’ 충돌 과정을 규명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DNA 커튼을 활용해 첨단 바이오 기술에 활발히 사용되는 박테리오파지 Phi29의 DNA 폴리머라아제에 의한 DNA 복제과정을 실시간으로 이미지화 하고, 전사·알룹과의 충돌을 관찰했다. 특히 하나의 알룹이 DNA 복제를 멈춰 DNA 복제 스트레스를 유도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증명했다.
이자일 교수는 “이번 연구는 ‘복제-전사 충돌’이라는 분자생물학의 오래된 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해답을 제시한 것”이라며 “이 기술을 사람의 DNA 복제와 전사 연구에 응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재권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