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울산 북구에 따르면, 인력 효율화를 위해 기존 임기제 6급직을 없애고, 현 보건소의 정규직 7급 간호직들을 교육·훈련해 역학조사관으로 양성하기로 했다. 이 같은 방침에 현장과 의료계에서는 임상경험 부족 또는 오래된 보건직들을 역학조사관으로 양성할 경우 타 의료인과의 소통 한계 등 임상 의료 대응 능력 미흡으로 초기 대응에 실패할 수 있어, 급변하는 감염병 대처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울산의 역학조사관은 총 7명으로, 원래는 의사를 임명해야 하지만 임금 및 처우 등의 이유로 임상 경험이 많은 간호사들을 임명하고 있다.
시와 남구는 일반임기제 6급으로 변경 후 채용 예정이며, 중구와 동구는 계약을 연장할 예정이다. 울주군은 재계약을 완료했다.
이에 대해 북구는 “타 지역 사례를 조사해 보니 지속적 교육을 통해 역학조사관을 임명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며 “장기적으로 구청 인력의 전문성을 더 키워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는 타 지자체와는 다른 행보다. 특히 역학조사관의 업무 범위 확대 시류와 정규직 공무원 특성상 전출·입, 승진 등의 인사 요인을 고려할 때 일반 간호직은 역학조사관으로서의 고유 업무를 제대로 수행할 수 없다는 지적에 제기된다.
시 감염병관리과 관계자는 “질병관리청에서 하는 역학조사관 교육 과정도 최소 2년 정도로 역학조사관은 전문성을 요한다”며 “반면 보건소의 간호직 공무원들은 임상에서 떠난 지 오래된 데다 임상 경험도 많지 않아 업무 수행에 우려감이 든다”고 말했다. 신동섭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