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ESG평가원은 17개 광역 지자체와 226개 시군구 기초 지자체의 ESG 행정과 정책이 현재 어떤 수준인지 알아보는 ‘2023년 정례 지자체 ESG평가’를 실시해 7일 발표했다.
경기도가 광역단체 중 유일하게 A등급을 받았으며, 전남, 제주, 충북이 B+를 받아 뒤를 이었다.
서울, 세종, 광주, 대전, 강원, 경남, 경북, 전북, 충남은 B로 평가됐으며 부산, 인천(이상 C+), 대구, 울산(이상 C)이 하위권을 형성했다.
기초단체 평가에서는 화성시가 A+등급으로 1위를 차지한 가운데 수원, 안양, 남해, 담양, 신안, 영광(이상 A등급) 등이 뒤를 이었다.
ESG 평가 결과, 울산은 전력 등 에너지 사용량과 관련한 환경 부문에서는 B등급 받았지만, 보육시설이나 지역 안전등급 등 ‘사회 부문’과 재정자립도, 주민참여예산, 민원서비스 등 ‘지배구조 부문’은 C등급에 그쳤다.
손종원 한국ESG평가원 대표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로 나눠서 본 결과 사회 부문이 평균 ‘C+’로 가장 부진했는데, 이는 사회 부문의 다양한 행정 서비스가 각 팀과 부서별로 나뉘어 이뤄지다 보니 ESG 행정의 전반적인 측면에서 통일성과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