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 탄소중립특화연구집적단지 조성사업 용지로 활용될 옛 다운목장 부지가 김두겸 시장의 ‘1호 GB해제’ 대상이 됐다.
조만간 정부에서도 개발제한구역 해제 방안을 밝힐 것으로 예상돼 울산체육공원과 남목일반산업단지 등의 GB 해제에도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울산시는 21일 시청에서 열린 울산시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중구 다운동 산 101 일원 18만9000㎡의 개발제한구역 해제가 결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해제는 울산 탄소중립특화연구집적단지 조성사업 용지 확보를 위해 이뤄졌다. 이 사업은 국토교통부가 선정한 도심융합특구 선도사업으로,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수행할 지역혁신거점지구 육성을 목표로 한다.
시는 산업용지 12만㎡, 지원용지 1만㎡, 기반시설용지 6만㎡를 조성한다. 여기에 탄소중립 분야 창업을 지원하는 유-스타베이스지구, 탄소배출 저감 기술을 개발하는 그린스마트 제조공정 혁신지구 등 총 6개 지구를 구축한다. 시는 내년 기본계획 승인과 사업시행자 지정, 2025년 실시계획 수립 등을 거쳐 2026년 착공해 2029년 완공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총사업비는 528억원이다.
사업 대상지는 탄소중립 연구기관이 모여있는 울산테크노파크, 혁신도시 내 에너지 관련 공기업들, 울산대학교 등 주요 산학연 기관들과 인접한 지역이다. 사업이 완료되면 도심 속에 산업과 주거, 문화 기반이 밀집한 고밀도 혁신 공간이 조성돼 기업과 인재 유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시는 기대한다.
특히 이번 개발제한구역 해제는 민선 8기 1호 공약사업의 성과물이라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김 시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시장후보 시절에도 ‘울산 그린벨트 해제’를 1호 공약으로 삼았고,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공약에도 포함시켰다”면서 “윤 대통령도 그린벨트 관련 향후 계획에 대해 결심은 섰지만, 발표 시기를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남구 울산체육공원과 동구 남목일반산업단지, 중구 성안·약사일반산업단지, 울주군 율현지구 등 앞으로 2, 3호 해제가 이어질 것”이라며 “산업용지를 값싸게 공급하고 물류비용도 줄여 투자하기 좋은 ‘기업도시 울산’의 정체성을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열린 2023년 제9회 도시계획위원회에서는 △동구 서부동, 북구 염포동 일원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남구 옥동3지구 내 송전설로(철탑) 이설 △울주군 온양읍 발리 산46 일원 도시관리계획 변경 등도 모두 원안 수용됐다.
특히 발리 산46 일원 도시관리계획이 변경되면서 울산온천유원지(발리)가 32년만에 유원지에서 해제됐다. 울산온천유원지는 온천을 활용해서 관광단지로 조성하려던 계획이었는데 1991년 유원지 지정 후 착공도 못한채 방치돼 왔다. 해당 부지가 도시계획시설에서 해제되면서 울주군 남부권 대규모 도시개발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