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는 27일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글로벌 혁신특구 2차 발표평가’를 진행한데 이어 28일 4곳의 글로벌혁신특구 지정 사업을 발표한다.
중기부가 지난 9월 실시한 글로벌 혁신특구 공모에는 총 14개 광역자치단체가 18개 사업의 글로벌혁신특구 지정을 신청했고, 1차 평가를 통과한 울산, 부산, 강원, 대전, 충북, 대구, 경북, 전남 등 8곳이 이날 2차발표를 진행했다.
당초 중기부는 올해 2곳을 선정할 예정이었지만 전국적인 수요와 관심이 높은 점을 고려해 4곳으로 확대하는 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선정 분야는 첨단 신산업 분야인 바이오와 모빌리티, 에너지, AI데이터 등 4개 분야다. 분야별로 1곳씩 선정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울산시는 수소 모빌리티 분야 글로벌 혁신특구 사업을 신청했다.
이 사업은 2024년부터 4년간 울산 전역 및 인근 해상(498만3000㎡)을 무대로 추진된다. 국비 110억5000만원을 포함해 총 200억원이 투입된다.
시는 혁신 특구를 유치해 수소모빌리티 부품 및 제품 실증 플랫폼을 구축하고, 연료전지 부품단위 성능평가용 가상 실증 인프라 구축·지원, 수소 모빌리티 해외 실증지원 및 해외인증 등을 진행해 나갈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글로벌 혁신특구가 신산업 육성을 위해 추진되는 만큼 바이오 분야 산업이 좀 더 유리할 것이라는 추측이 있었다. 하지만 제조업 관련 산업도 선정 가능성이 있다는 중기부의 입장을 확인했고, 끝까지 울산의 우수한 강점을 내세우셌다”고 말했다.
한편 글로벌 혁신특구는 기존 규제자유특구를 좀 더 고도화한 개념으로, 신제품 개발과 해외 진출을 위해 규제·실증·인증·허가·보험 등 글로벌 기준에 맞는 제도를 적용할 수 있는 구역이다. 공모에 선정된 지역은 국내 최초로 전면적 네거티브 규제라는 제도상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중기부는 올해 4곳을 1차적으로 지정하고, 2027년까지 10곳의 특구를 지정할 계획이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