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에 따르면 교육발전특구 지원단은 행정부시장을 단장으로 유아 돌봄, 초중고 대학 혁신, 산학 연계 등 3개 분야로 이뤄져 활동한다.
또 시장과 시교육감을 공동위원장으로 하고 대학, 기업, 공공기관 등이 참여하는 지역협력체도 운영한다.
교육발전특구는 유아부터 초·중등, 대학까지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대학, 지역 기업, 지역 공공기관 등이 협력·지원하는 체제다.
교육부는 지난 11일부터 기초지자체 단위 1유형, 광역지자체 단위 2유형, 광역지자체와 여러 기초지자체가 함께하는 3유형으로 나눠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1차 공모를 시작했다. 내년 2월9일까지 신청을 받아 3월 초 1차 공모 결과를 발표한다. 교육부는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한 곳당 30억~100억원을 지원하고 교육 관련 규제를 완화해 준다.
1차 공모신청을 준비 중인 울산시는 이날 시교육청, 지역 대학교, 공공기관 등과 ‘울산형 교육발전특구 모델 발굴 회의’를 열어 지역 실정에 맞는 교육 모델 마련, 교육개혁과제 지원사업 발굴, 교육발전특구 연계사업 등에 대한 상호 협력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날 회의는 교육발전특구 관련 진행된 첫 공식 실무회의로, 시범사업 공모 유형은 물론 주요 추진방향에 대해서도 확정하지 못한 상태다.
반면 부산 등 경쟁 도시의 경우 이미 한 달 전 TF를 구성했고, 경남도와 대전은 추진방향에 대해 가닥을 잡은 상태로 알려졌다. 세종시, 대구 달성군, 전북 익산시 등은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지정을 위한 연구용역도 시행하는 등 울산이 상당 부분 뒤쳐진 상황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지역 공교육 강화를 목표로 전략을 구상하되, 함께 추진될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글로컬대학30 사업들과도 잘 엮어 시너지 효과를 낼 방안을 마련하겠다”면서 “시, 교육청, 대학, 공공기관이 협력해 지역 인재가 정주할 수 있는 선순환 발전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차질 없이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