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 글로벌 혁신특구 고배, ‘수소도시의 꿈’ 좌초하나
상태바
[사설]울산 글로벌 혁신특구 고배, ‘수소도시의 꿈’ 좌초하나
  • 김창식
  • 승인 2023.12.29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소 이동수단과 게놈 규제자유특구 사업을 한층 업그레이드하고자 하는 울산의 꿈이 좌초 위기에 직면했다. 정부의 ‘글로벌 혁신 특구’ 후보지 선정에서 고배를 마셨다. 이에 따라 수소차·선박·트램 등 수소 그린모빌리티 기술과 게놈 관련 기술을 동반 촉진해 산업화를 앞당기려는 울산시의 계획에 제동이 걸리게 됐다. 무엇보다 수소산업 전 주기 분야 생태계를 구축한 국내 유일의 수소산업 특화도시인 울산의 탈락은 충격적인 결과다. 울산시는 준비를 철저히 해 내년 초 2차 글로벌 혁신특구 후보지 선정에 빈틈이 없어야 할 것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8일 부산(차세대 해양모빌리티), 강원(보건의료데이터), 충북(첨단재생바이오), 전남(에너지 신산업) 등 4곳을 ‘글로벌 혁신특구’ 후보 지역으로 선정했다. 1차 관문을 통과한 울산 대구 대전 등 4곳은 탈락했다. 글로벌 혁신 특구는 기존 규제자유특구를 고도화하고 확대 개편해 미래 기술 분야의 신제품 개발과 해외 진출을 지원하도록 조성하는 사업이다. 명시적인 제한·금지 사항 외에는 모든 실증이 허용되는 ‘전면 네거티브(열린) 규제’가 국내에서 처음 적용돼 관련 기술과 제품 혁신의 요람으로 거듭날 수 있다.

울산은 이번 특구 탈락으로 ‘차세대 신성장 동력’과 ‘혁신 클러스터’ 모두 놓칠 상황에 직면했다. 지난 4년간 수소지게차·수소선박 등을 상용화한 ‘수소 그린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사업이 올해 종료되고 ‘울산게놈규제자유특구’ 사업도 내년 말 마무리 된다. 2개 특구가 종료되면 관련 사업의 동력이 약화할게 불 보듯 뻔한 일이다.

울산은 그동안 수소 시범도시, 수소 이동수단 클러스터 등 수소 관련 많은 국책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 중이다. 수소산업 관련 탄탄한 생태계 기반과 관련 기술도 확보했다. 기업들의 대규모 수소 생산시설 투자가 줄을 잇고 있고, 세계 최초 수소트램 구축까지 산업 영역도 확장하고 있다. 그런데도 어이없는 결과가 나왔다. 정부는 혁신특구 후보지에서 울산을 배제한 데 대해 시민들이 납득할만한 해명을 해야 할 것이다.

울산시는 세계 최고 ‘수소도시’를 목표로 수소산업을 키우고 있다. 현대차의 세계 최초 수소차 생산을 기념해 ‘수소산업의 날’을 제정해 운영할 정도다. 문재인 대통령은 2019년 1월 울산시청에서 “울산이 성공하면, 대한민국도 성공한다”며 수소경제로의 전환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그러나 정부는 울산을 외면했다. 이번 결정이 탄소중립시대 정부의 수소산업 정책 후퇴로 이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