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는 전날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펼쳐진 공모발표 평가에 따라 글로벌 혁신 특구 최종 후보 지역으로 부산(차세대 해양모빌리티), 강원(보건의료데이터), 충북(첨단재생바이오), 전남(에너지 신산업) 4곳을 선정해 28일 발표했다.
당초 울산은 수소 그린 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를 운영하면서 규제 예외 혜택을 받고 있지만, 추가로 확인되는 규제가 속속 드러나고 있는 만큼 전면적인 네거티브 규제 적용이 절실하다는 입장이었다. 이에 수소 규제자유특구를 고도화하기 위해 지역내 수소 관련 우수 인프라를 내세우며 글로벌 혁신특구 선정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또 시는 규제자유특구를 운영하면서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했고, 지역 거점과의 연계 활용성도 우수한 만큼 정부의 선정 기준에 부합하다고 판단했지만, 아쉬운 성적표를 받게 됐다.
특히 이번 공모에서 헬스케어, 바이오 등 신산업분야가 선정에 유리하게 작용했던 만큼 울산도 다음 도전엔 게놈이나 헬스케어, 바이오 분야로 판을 새롭게 구성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지역내 관련 기업이 많지 않아 고민이 깊어진 상황이다.
실제로 이번 공모에서 정부는 성장 가치가 높은 유니콘 기업 육성에 주안점을 두고, 기초연구부터 사업화까지 전 단계 지원이 가능한 지역에 높은 점수를 줬다.
차세대 해양모빌리티 특구 조성계획을 밝힌 부산은 지역에 다수의 선도기업과 잠재력 있는 기업을 보유하고 있고, 에너지 신산업 특구 조성을 계획 중인 전남 역시 클러스터 조성에 필요한 지원기관과 관련 기업 등이 집적해 있다. 첨단재생바이오 특구를 조성할 계획인 충북도 기초연구부터 사업화까지 전 단계 지원이 가능한 기반 시설을 갖추고 있다.
글로벌 혁신특구 선정을 기점으로 지역 내 수소산업을 더욱 성장시키려 했던 시의 구상에 일부 차질이 생기게 됐지만, 이번 공모 준비 단계서부터 발생한 미비점을 파악해 대대적인 전략 수정과 보완에 나서겠단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기회를 통해 공모 접근 전략에 대한 미비점을 보완할 것”이라면서 “내년 1~2월께 차기 글로벌 혁신특구 선정을 시작하는 만큼 서둘러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