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기상청은 울산 간절곶과 방어진에서 내륙 중 가장 빨리 새해가 떠오를 것으로 예보했다. 해돋이 예상 시각은 오전 7시31분이다.
하지만 온전한 2023년 해넘이와 2024년 해돋이를 보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오는 30일 오후 비소식이 예고된 데다 31일과 1일 사이 울산의 대기에 눈구름대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30일 예상 강수량은 5㎜ 내외다.
눈구름대는 저기압이 동해안으로 빠져나간 자리에 중국 북동쪽, 서해상에 있던 고기압이 밀려오면서 해수면과 대기의 온도차로 만들어질 것으로 보인다.
비와 눈 영향으로 도로 곳곳에 결빙, 살얼음이 발생할 수 있어 연말연시 교통 안전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날씨는 오는 1월3일까지 비교적 따뜻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상 기온분포는 29~30일 -1~11℃, 31일 5~9℃, 1월1일 2~9℃, 2일 1~10℃다.
한편 울산지역 각 지자체별 해맞이 행사는 울주군 간절곶공원, 중구 병영성 북문, 남구 장생포고래문화마을, 동구 대왕암공원 등에서 열린다. 강민형기자 min007@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