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야말로 파크골프장 붐이다. 민선 8기 울산시가 생활체육 인프라 확충 차원에서 파크골프장 조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시는 지난해 말 일본까지 건너가 파크골프장 시설 현황 등을 둘러보고 오기까지 했다. 언제부터인가 기초단체들도 슬그머니 숟가락을 얹는 분위기다.
시는 ‘정원 속의 파크골프장’이란 타이틀로 오는 2025년 말까지 전국 최고 수준의 파크골프장 2곳을 조성한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고령화에 따른 노인세대의 즐길거리 제공은 물론 ‘3대가 함께 즐기는 스포츠’로 시민 누구나 즐기는 생활스포츠로 육성하겠다는 의지가 묻어난다. 시민들의 건강권 차원에서 이러한 스포츠 저변확대는 당연히 반가운 소식이다.
하지만 파크골프장 운영 내부를 살펴보면 ‘이게 제대로 되겠나’는 의문이 여전히 남는다.
파크골프 협회 내부에서 잡음이 수년 째 끊이질 않는다. “그들만의 전유물이다”, “시민 전체가 이용할 수 있는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말이 꼬리를 문다.
실제, 최근 중구체육회 소속 중구파크골프협회는 회장단 전체가 해임되는 사태에 직면했다. 앞서 회원 간 고소·고발 및 민원 다수 접수와 회비문제로 내홍이 끊이질 않았는데, 갈등이 절정에 달하며 중구체육회에서 이사회 의결을 거쳐 회장단 해임 및 중구체육회과 관리하는 관리단체 지정 조치를 취한 것이다.
그러나 회장단 일부가 “올바른 절차를 거치지 않은 이사회 의결을 따를 수 없다”며 가처분 무효 소장을 제출, 또 다른 법적 공방으로까지 번지게 됐다.
이 뿐 아니다. 5개 구·군 파크골프협회는 앞서 회원들을 대상으로 타 구·군 소재 파크골프장의 출입을 제한한다고 통보해 논란이 일었다. 남구 파크골프장은 개방시설임에도 일반회원이 아닌 사실상 협회 중심으로 이용되고 있어 불만이 표출되기도 했다.
지자체가 파크골프장 확충에 나서면서 회원이 아닌 이들의 불만도 함께 높아지는 형국이다. 모두에게 열린 하천을 특정인들만 사용할 수 있게 출입을 막는 시설로 변하면서 하천 경관을 해치고 일반 시민들이 즐길 곳이 없어진다는 민원도 부지기수다.
가장 문제는 ‘독점’과 ‘텃세’가 난무하는데, 정작 지자체는 ‘강건너 불구경’하는 모습이다.
이대로 가다가는 ‘3대가 함께 즐기는 파크골프’가 아닌, ‘3대가 함께 싸우는 파크골프’로 전락할지 모를 일이다.
시민들의 건강권을 협회에만 떠 넘겨서는 안된다. 시설 확충으로 이어지는 하드웨어 외에 내부운영 효율 등의 소프트웨어에 행정력의 손길이 뻗어야 한다. 누구나 찾고 싶고, 누구나 함께 하고 싶고,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공간이 진정한 스포츠 문화의 장이 되지 않을까. 이게 선진 문화체육 도시로 발전하는 지름길이 되지 않을까. 체육인과 행정기관들이 해답을 찾을 때다.
정혜윤 사회부 기자 hy040430@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