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울산시에 따르면 울산시와 경주, 포항 등 해오름동맹 도시가 이달 중으로 ‘해오름동맹 도시발전 시행계획’ 수립을 마치고 실무협의회를 구성할 방침이다.
시행계획에는 △경제·산업 △교통인프라 △문화·관광 △해양·물류 △방재·안전 추진체계 등 6개 분야 47개 세부사업이 담겼다. 지난해 ‘해오름동맹 도시발전 전략 연구 용역’을 통해 앞서 추진해 온 4개 분야 30개 세부사업을 대내·외 정책환경 변화에 맞게 재설정한 것이다.
주요 신규 사업으로는 △해오름 이차전지 글로벌 메카 조성 △해오름 공동생활권 조성 △국도3호선 도로 개량 및 확장 △해오름 관광 브랜드 개발 및 마케팅 △환동해 해오름 해안관광단지 조성 △재난안전 공동연구 발굴단 조직 및 운영 등이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울산과 포항이 국가첨단전략산업 이차전지 분야에서 동시에 특화단지 지정을 받으며 ‘전기차 산업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미래 동력도 얻었다.
이차전지 산업 중 포항이 양·음극재, 전구체 등 소재 중심이라면 울산은 최종 완성된 배터리로 완성된 전기차를 생산하는 구조다. 경주 역시 완성 전기차의 세부적 부품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세 도시는 7월께 ‘해오름동맹 사무국’ 출범도 준비하고 있는 만큼 올해부터 본격적인 ‘해오름동맹 시대’가 열릴 전망이다. 사무국 출범은 지난해 11월 합의한 해오름동맹 상생협력사업의 후속조치다. 현재 사무국 설치 도시, 각 자치단체에서 파견할 사무국 인원, 조직 편성 등에 대해 논의 중이다.
아직 아이디어 제안 차원이지만 신라광역경제청(가칭) 설립 논의도 진행 중이다. 신라광역경제청이 현실화한다면 3개 도시 간 경제적 협력을 통해 규모의 경제가 실현되고, 생산비용이 절감되는 등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 관계자는 “연구 용역을 바탕으로 수립된 시행계획을 바탕으로 동맹 도시간 논의를 진행하고, 사업들을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라면서 “해오름동맹 강화를 통해 산업 생태계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면서 지역 경쟁력을 강화하고 시민 삶의 질을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