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울산경찰에 따르면, 지난 8일 오후 1시부터 3시까지 울산에 내린 극한호우에 도로 침수 22건, 교통 신호기 고장 38건 등 비 피해 신고 총 66건이 접수됐다.
특히 이날 청량읍 행정복지센터 인근 도로가 침수되며 주택 2가구가 침수 피해를 입었다. 해당 지역은 앞서 지난달 의용소방대 등에서 한차례 침수 우려 지역 배수로 정비를 마치고 일대 정비 요청도 진행했던 곳이었다.
울주군도 지난 6월 여름철 자연재난 대책 추진사항 점검회의를 갖고 관내 침수 도로 등 점검을 논의하고 대책까지 마련했지만 이날 1시간가량 내린 극한호우는 당해내지 못한 것이다.
군 관계자는 “지난 8일 청량 지역에 잠깐 내린 비가 30분에 80㎜가량이었다”며 “해당 지역에 법정기준 배수관로까지 다 설치돼 있었지만 시간당 100㎜가 넘는 상식 밖의 극한호우는 법정 배수관로로도 처리가 안 돼 침수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했다”고 설명했다.
더군다나 사전 예고도 없는 ‘도깨비성’ 극한호우에 지자체나 시민들의 침수 예방 대처도 더욱 어려워진 상태다.
청량읍 관계자는 “이번에 침수된 지역은 수시로 침수돼 앞서 집중호우가 예보되면 지역 주민들과 함께 물막이판을 설치하거나, 펌프를 미리 가져다두면서 대비를 해왔다”며 “그러나 이번에는 예고도 없이 물폭탄이 쏟아져 대비하지 못해 속수무책으로 침수됐다”고 말했다.
이런 와중에 APEC기후센터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온실가스 배출량이 계속 증가한다면 오는 2100년도에는 시간당 230㎜의 비가 내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각 지자체의 방재성능목표 재정립도 시급해졌다.
방재성능목표는 시간당 처리 가능한 강우량 설정값을 말한다. 울산의 방재성능목표는 기존 시간당 75㎜에서 지난해 초 86㎜까지 확대됐다. 그러나 100㎜가량의 극한호우 대응에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날 국회도서관의 ‘폭염, 폭풍, 폭우 대응체계 점검할 때’ 현안보고서에서도 기후 변화로 인한 피해가 확대돼 전문적인 재난 상황 대응을 위한 관련 법률 개정 및 체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됐다. 이에 재난안전관리, 전문인력 양성 등 전반적인 방재성능목표 재정립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지자체 관계자는 “정부에서 방재성능목표가 정해져서 내려오는 만큼 자체적 향상은 어려운 실정”이라며 “침수 우려지역에 법정 기준에 맞춘 주 배수관로를 추가로 설치하는 등 방재성능을 늘릴 수 있는 대비책을 논의 중이다”고 말했다.
정혜윤기자 hy040430@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