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출산과 청년인구 유출 등으로 울산의 생산연령인구는 매년 큰 폭으로 감소하고, 노령화 속도는 빨라지는 추세다. 청년인구 유출은 인구의 감소뿐 아니라 도시의 생산성과 역동성을 악화시키는 근본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정부와 지자체가 나서 다양한 정책을 펴고 있지만, 가시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단순히 인구 정책만 나열하는 것이 아닌 지역의 특성이 반영된 실효성 있는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울산 유출 인구 절반은 청년층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 2020~2050년’에 따르면 울산의 총인구는 2020년 114만명에서 2050년 84만명으로 25.9%(29만명)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전국 17개 시·도(평균 -8.6%) 가운데 가장 큰 감소 폭이다.
무엇보다 울산 생산연령인구(만 15~64세)는 2020년 85만명에서 2050년 42만명으로 절반 넘게(50.6%)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이 역시 전국에서 가장 큰 감소율이다.
이처럼 생산연령인구가 급감하는 것은 지역 청년층(19~34세)의 탈울산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울산 청년층은 최근 3년새 22만4683명에서 20만1892명으로 2만2791명(10.1%)이나 줄었다. 지난해 기준 울산의 총인구 대비 청년 인구 비율은 18.3%로 전국 평균 19.6%을 밑돌았다. 지난해에만 울산을 떠난 청년은 3481명에 달한다. 울산 전연령 순이동(-6215명)의 절반이 청년층에서 발생한 것이다.
청년층 가운데서도 20~24세 인구 유출이 68.9%를 차지했다. 이는 대학 진학 시기 유출이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도수관 울산대 행정학과 교수는 “지역 청년 인구 유출은 지방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개입 없이는 해결이 어려울 것”이라며 “대기업 본사 및 창업벤처 투자 자금의 수도권 집중과 수도권 중심의 교육, 사회, 문화, 교통 분야의 사회간접자본 확충이 지속되는 한 향후에도 청년 인구의 수도권 쏠림 현상은 계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자녀 필요성 인식 청년일수록 이주 의지 낮아
울산시가 청년 정책 수립을 위해 진행한 실태 조사에서는 흥미로운 결과가 발견됐다.
조사 결과 자녀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한 경우가 51%로 나타났고 자녀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청년일수록 타지역 이주 의지가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자녀 양육에 필요한 정책적 지원이 지역 청년 유출 완화에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 청년들의 이직 의도가 급여 수준, 근로 조건과 근무 환경, 복리후생 수준 등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시 청년 정책에는 기업의 근로 환경이나 복리후생 증진과 관련된 지원은 찾아보기 힘들다. 창업 공간 지원, 청년희망주택 공급, 공공 산후조리원 운영 등 관 주도의 청년 정책에 한정되는 것이다.
이에 도 교수는 “기업체 종사자들의 이직 의도를 저감하기 위한 정책 대안의 준비와 시책화가 시급하다”며 “울산에서 공부하고, 일자리를 가지고,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아 기를 만한 기반을 갖춰 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청년 인구 유출과 함께 최근 1세대 베이비부머들의 탈울산 증가세도 심상찮다. 지난해 울산 순이동 가운데 60~69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11.9%에 달했다. 2020년 8.4% 대비 3.5%p 늘어난 것이다. 이들 중 상당수는 대부분 대기업 생산직 퇴직자들로, 가처분 소득이 있는 사람들이다. 비록 베이비부머 세대가 노인 세대에 접어들었지만, 이들을 울산에 머물게 할 제도적 지원도 모색해야 할 때라는 의미다. 이처럼 울산은 경제활동인구 확충, 고령사회 대비, 저출산 대응 등이 동시에 이뤄져야 하는 상황이다. 때문에 수요에 기반한 인구 정책이 수립되고, 일관성 있게 추진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정책 대부분이 인구에 방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다”며 “울산의 강점을 살려 지역에 특화된 전략 산업을 선정해 관련 기업을 유치·집적화시키고 산학연관이 협업 체계를 구축해 양질의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