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는 에너지화학공학과 김진영, 김동석 교수와 화학과 이근식 교수 공동 연구팀이 페로브스카이트 광활성층과 전자수송층 사이에 양방향 조율 분자를 넣어 이온 배열을 정밀하게 조절하고, 구조의 불규칙성을 줄이는 데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높은 효율과 저렴한 제조 비용 덕분에 주목받아 왔다.
하지만 여러 결함 문제로 상용화가 어려웠다.
연구팀은 결함을 해결하기 위해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TFA-)라는 특수한 이온을 페로브스카이트와 전자수송층인 주석산화물 박막 사이에 넣었다.
TFA-의 카복실레이트 그룹(-COO-)은 주석산화물에 단단히 붙어 구조를 안정시켰다.
동시에 -CF3 그룹은 페로브스카이트 층과 상호 작용하는 양방향 조율 분자를 통해 결함을 효과적으로 줄였다.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박막의 불규칙한 구조를 제어하고, 전하가 이동하는 특성을 크게 개선했다.
이 기술로 제작된 태양전지는 25.60%의 높은 효율을 기록했으며, 장시간 빛을 받는 상황에서도 뛰어난 안정성을 유지했다.
김동석 교수는 “페로브스카이트 박막의 하부 결함을 극복하는 중요한 돌파구를 마련했다”며 “이 성과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상업화 가능성을 한층 더 높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권기자 jaekwon@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