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가 만들어지는 곳에서 전기를 쓰는 ‘지산지소(地産地消)형 전력 시스템’ 구축을 촉진하기 위한 ‘분산에너지 특구’가 내년 상반기까지 지정된다.
울산시는 전력 수요가 밀집된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준비 중인데, 이미 설치된 수소배관망 등 인프라를 활용해 탄소 중립 산업단지를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울산시, 부산시 등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에 관심이 있는 광역·기초지자체 및 단체 등 분산에너지 사업자를 대상으로 ‘분산특구 가이드라인 설명회’를 갖고 이 같은 일정을 공개했다.
가이드라인에서는 △분산에너지 정책과 분산특구의 취지 △지자체별 전력 자립률 등 여건에 적합한 분산특구 유형 △분산특구의 지정 절차 및 평가 기준 △분산특구 계획 수립을 위한 세부 작성 요령 등이 포함됐다.
이날 산업부가 제시한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분산특구는 △전력수요 유치형 △공급자원 유치형 △신산업 활성화형 등 3개 유형으로 구분된다.
전력 자립도가 높은 울산은 ‘전력수요 유치형’에 도전한다. 2022년 기준 전력 자립도를 비교하면 울산은 102.2%, 서울은 8.9%다.
여기에다 울산에는 2030년까지 GPS 복합화력 1.2GW, 새울원전 3·4회기 2.8GW, 부유식 해상풍력 6.2GW 등 총 10.2GW의 분산에너지 전원이 계획돼 있다. 즉 시일이 지날수록 울산의 전력 자립도는 높아진다는 뜻이다.
울산은 미포·온산 국가산업단지 등 대규모 전력 수요지가 집중돼 있어 전력 생산량(33.6TWh)과 소비량(32.9TWh)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
정부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목적이 ‘지역에서 생산한 에너지를 그 지역에서 소비하는 지산지소형 전력 시스템 구축’인 만큼, 수요와 공급이 균형을 이루는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최적지가 바로 울산이라는 게 시의 전략이다.
시는 무엇보다 울산의 미래 핵심 기술인 첨단 이차전지 기술력을 확보하고 국가 경쟁력을 높이려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통해 우수 기업과 연구기관을 유치할 수 있도록 정부의 배려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에 시는 전력 수요가 밀집된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에 나설 방침이다. 이미 설치된 수소배관망 등 인프라를 활용해 탄소 중립 산업단지를 실현해 내겠다는 계획이다.
산업부는 ‘분산에너지 진흥센터’로 지정된 한국에너지공단과 전력거래소를 통해 사전 컨설팅을 진행해 지자체들이 올해 안으로 각자 사정에 맞는 특구 계획을 수립토록 유도한다. 이어 내년 1분기 공모를 통해 상반기 중 특구를 지정하기로 했다.
아울러 분산특구에서 전력직접거래의 핵심인 책임 공급 비율, 대금 정산 등 세부 내용을 포함한 ‘전력직접거래 고시’도 오는 9월 초에 행정예고하는 한편, 구역전기 등 분산형 전원에 대한 제도 개선 방안도 마련해 9월 중 발표할 예정이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된 지자체는 독립적인 전력 생산, 소비 계획을 세울 수 있다.
‘지역 차등 요금제’ 도입도 가능해져 전력 사용량이 많은 첨단 산업을 유치하는 데 유리하다.
해당 지역의 전력 사용자는 한전의 산업용 전기 요금보다 싼 가격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되고, 해당 지자체는 전력 소비량이 많은 데이터센터와 반도체, 이차전지 등 첨단기업 유치에 탄력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특화지역의 특성상 원전을 보유한 부산·울산·경북·전남 가운데 한 곳이 ‘1호 특구’ 지정이 유력시된다. 부산시와 울산시 등은 현재 1순위 후보로 꼽힌다.
시는 지난달 전국 최초로 분산에너지 지원센터를 여는 등 특화지역 지정에 사활을 걸고 있다. 센터는 특화지역 유치 전략을 개발하고, 관련 산업생태계를 구축하는 기관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산업부에서 제시한 가이드라인을 통해 체계적으로 울산형 분산특구 계획을 수립해 나갈 계획”이라면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된다면 원활한 사업 추진의 큰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