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속 가능한 녹색환경 도시 울산’을 구현하는 실천 과제를 모색하기 위해 열린 학술 토론회에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제시된 의견들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시민, 기업체, 학계, 연구기관 등이 그린 거버넌스 강화에 힘을 모아 지역사회의 환경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울산시는 26일 시의회 1층 시민홀에서 ‘지속 가능 녹색환경 도시 울산 학술 토론회’를 개최했다.
시는 앞서 지난 6월 에코폴리스 울산 선언 20주년을 맞아 ‘녹색환경 도시 울산’이라는 새로운 비전을 선포했다. ‘탄소 중립’ ‘기후 적응’ ‘생물 다양성’ 등 환경 분야 3대 메가 트렌드를 바탕으로 ‘녹색산업도시’ ‘생태문화도시’ ‘안전건강도시’ ‘회복탄력도시’ 등 4대 전략도 내놓았다.
이날 토론회는 뉴비전과 전략을 구체화하기 위한 실천 과제를 모색하기 위해 울산지속가능발전협의회 주관·시 주최로 마련됐다.
‘녹색환경 도시 울산 실현을 위한 우리의 과제’를 주제로 발표한 김희종 울산연구원 안전연구실장은 “울산을 지속 가능한 녹색환경 도시로 만들기 위해서는 학계, 환경단체, 기업, 미디어, 단체 등이 협력해 공동 캠페인, 워크숍, 세미나 등을 개최하고, 정책을 제안하는 등 지속 가능한 그린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실장은 2004년 에코폴리스 울산 선언 이후 태화강 수질 개선과 생물 다양성 회복, 대기 오염물질 감소 등 큰 성과를 거뒀지만, 환경 문제에 대한 시민 불안은 여전하며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도 산적하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수질 오염이나 생태계 훼손에 대한 우려가 높았던 예전과 달리 최근에는 대기 오염이나 미세먼지, 기후 변화에 대한 위기 의식이 고조되고 있다.
이로 인해 대기질 개선, 환경 오염으로 인한 건강 위해성,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정책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다.
그는 “탄소 중립이 국제적 목표로 부각됨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는 만큼 순환경제 신사업 발굴 및 에너지 대전환 추진으로 ESG 경영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해상풍력, 수소 등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하고, 생산 방식 전환으로 에너지 효율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어 그는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변화가 가속화되고, 생물 다양성 감소에 대한 우려도 높아진 만큼 생태관광·문화를 활성화할 수 있는 콘텐츠를 다양하게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토론에 참여한 김남현 한국동서발전 탄소중립실 기후변화대책부장은 “기업의 탄소 중립을 위한 친환경에너지 및 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는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며 “태양광 이격 거리 제한, 해상풍력 등 대규모 재생에너지 사업에 대한 지자체의 인허가 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장소영 울산지속가능발전교육연구회장은 “울산의 생물 다양성, 폐기물 처리, 기후 위기 대응 전략 등 구체적인 ‘울산형 환경 교육’이 필요하다”며 “도시가 가진 환경 교육적 가치와 교훈을 적극 발굴하고 알려야 한다”고 조언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