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조류경보가 ‘관심’ 단계에서 ‘경계’ 단계로 상향되자 낙동강 본류를 수돗물 원수로 쓰고 있는 경남 양산·김해·창원시 등이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해 수질 강화에 돌입했다.
이들 지자체는 경남도가 최근 창녕함안보에서 개최한 취·정수장 운영 부서장 회의에 참석해 녹조 대응 상황을 점검했다.
3개 시는 녹조 발생이 잦은 여름철에는 취수구 주변에 조류 차단막을 설치하고, 물을 뿜어 조류를 밀어내면서 교란하는 살수 장치를 가동해 취수 단계에서부터 녹조 유입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들 지자체는 취수 때 걸러지지 않은 녹조는 고도정수처리 과정에서 오존, 활성탄, 약품 사용량을 조절하면 제거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조류경보 발생 단계에 맞춰 지자체는 조류 독성 물질(마이크로시스틴)과 냄새 물질 검사를 주 1회(관심), 주 2회(경계), 주 3회(대발생) 순으로 강화하고 있다.
앞서 낙동강유역환경청은 지난 22일 낙동강 칠서, 물금·매리 지점의 조류 경보를 ‘경계’ 단계로 상향했다. 두 지점의 조류경보는 같은 달 8일 ‘관심’ 단계가 발령된 이후 14일 만에 ‘경계’ 단계로 상향 발령됐다.
녹조 원인인 남조류 개체 수가 2회 연속 1㎖당 1000개를 넘으면 ‘관심’, 1만개 이상이면 ‘경계’, 100만개를 넘어서면 ‘대발생’ 경보가 내려진다.
낙동강 칠서, 물금·매리 지점은 최근 2주 연속 모두 1㎖당 남조류 개체 수가 1만개를 훨씬 넘었다.
김갑성기자 gskim@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