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울산연구원의 ‘(가칭)울주복지재단 설립 타당성 검토 보고서’에 따르면, 투자 및 사업의 적정성, 기대 효과 등을 종합 분석한 결과 출범 타당성이 있다는 결과가 도출됐다.
민선 8기 울주군 공약 중 하나인 울주복지재단 설립은 울산 기초지자체 차원에서는 최초로 출범하는 복지재단이다.
군 관내 운영되는 복지관 6곳과 장애인주간보호센터 2곳 등 복지시설은 현재 울주군시설관리공단에서 위탁 운영 중이다. 이에 다양한 복지 서비스 발굴과 심층 운영에 한계가 있고, 무엇보다 군의 각종 복지 정책을 총괄한 복지 컨트롤타워가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군은 전반적인 복지 서비스 질을 높이고 후원금 모금 등 자원 개발을 할 수 있는 지방출연기관 형태의 복지재단을 단독 출자한다는 계획이다.
울주복지재단은 행정지원팀과 복지기획팀 등 2개 조직에 15명의 인력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울주군수가 당연직 이사장을 맡고, 상임 대표이사를 선임해 실제 업무를 총괄한다.
군은 퇴직을 앞둔 공무원 2명을 울주복지재단으로 파견 배치하고, 울주군시설관리공단의 복지지원팀 등 복지시설 인력을 울주복지재단으로 이관해 조직을 꾸린다는 계획이다.
경제적 타당성 검토에서 울주복지재단의 향후 5년간 예상 소요 금액은 약 60억7000만원으로 산출됐다. 연 평균 약 12억1400만원이 운영비로 들어가고, 설립 초기에는 3억원의 기본재산 출연금과 보통재산 출연금 17억원 등 20억원의 출연금이 소요될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관련 군은 ‘2024~2028 중기지방재정계획’을 수립해 향후 5년 간 약 84억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재단 설립에 필요한 초기 출연금을 미리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타당성 분석에서는 기관 설립에 따른 지출 수준이 군의 재정에 부담스러운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됐다.
군은 이번 타당성 검토 내용을 갖고 군 및 시 설립 심의를 진행한 뒤 조례 제정을 거쳐 빠르면 내년 하반기 조직 개편을 통해 복지재단을 출범한다는 계획이다.
울주군 관계자는 “복지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며 지역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사회복지 정책을 수립하고, 사회복지 서비스의 전문화를 실시할 계획”이라며 “복지의 중요성이 확대되는 시점인 만큼 울주복지재단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혜윤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