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환경운동연합은 5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울산 지역 공공기관 대상 일회용 컵 사용 실태 2차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지난 8월26일과 27일, 30일 사흘간 울산 7개 공공기관에서 점심시간 유동 인구 중 일회용 컵을 사용하는 인원을 모니터링 요원들이 직접 세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조사 대상은 시청, 시교육청, 중구·남구·북구·동구청, 울주군청 등 7곳이었다. 각 조사일 점심시간 1시간 동안 5개 구·군청사 유동 인구 795명 중 340명(42.8%)이 일회용 컵을 사용하고 있었다. 중구 34.5%, 남구 35.7%, 북구 37.3%, 울주군 39.7%, 동구 89.4% 등이었다.
1차 모니터링에 참여했던 중·남·북구와 울주군은 직전 조사에 비해 일회용 컵 사용 비율이 크게 줄었지만, 이번이 첫 모니터링인 동구청은 직원 10명 중 9명이 일회용 컵을 사용했다.
반면 시청, 시교육청은 일회용 컵 사용률이 각각 6%, 0%로 매우 낮았다.
동구청과 마찬가지로 모니터링에 첫 참가한 시교육청에서는 텀블러 휴대가 이미 습관화된 모습이었다고 단체는 설명했다. 시교육청 유동 인원 82명 중 일회용컵 사용자는 한 명도 없었고, 구내 카페 이용자 53명 중 텀블러 지참 인원이 41명, 다회용기 사용 인원이 12명이었다.
시청은 꾸준한 캠페인과 청사 내 카페 다회용 컵 사용을 병행하며 1차에 비해 수치를 크게 개선했다. 시청은 지난 7월 1차 모니터링에서 17.6%였던 일회용컵 사용률이 6%로 줄어들었다.
울산환경운동연합은 기초지자체 일회용 컵 사용 비율이 높은 데 대해 “테이크아웃은 일회용 컵을 사용해도 된다는 그릇된 인식 때문”이라며 “공직자들이 더 분발해 일회용 컵을 사용하지 않는 공공기관의 모범이 돼 시민 자긍심을 되살려 줄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