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군은 ‘2024년 울주 맞춤형 인구정책 기본계획 수립 용역’ 최종보고회를 가졌다. 용역에서는 지난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약 22년간 군의 인구 추이를 분석하고 지역별 원하는 인구 정책에 대한 수요 조사를 실시했다.
군은 도농복합도시로 읍·면별 인구 증감과 연령대 등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군 전체 인구 중 85%가 읍 지역(언양, 범서, 삼남, 청량, 온산, 온양)에 거주하고, 면 지역(두서, 두동, 상북, 삼동, 웅촌, 서생)에는 15%만 거주했다. 읍에 비해 면의 경우 인구 감소와 함께 고령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지난해 군의 평균연령은 45.4세다. 대다수 읍의 평균 연령도 40대에 머물렀고 범서읍은 41.2세로 가장 젊었다. 그러나 두서면은 61.2세로 평균 연령이 가장 높았고 삼동면이 60.3세 등 면 지역 대다수 평균 연령은 50대 이상이였다.
군은 올해 5월을 기준으로 지방소멸 지수가 급격히 높아지며 지난해 ‘주의’ 단계에서 ‘위험’으로 진입했는데, 이중 두동·두서·상북·삼동면은 지방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됐다.
군 읍·면에서 원하는 인구 정책도 제각각이었다. 고령화가 심한 면 지역은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주거 개선 및 자식 부담 경감을 위한 식사 지원 사업을 원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인구 소멸을 막도록 공동주택이나 임대주택을 통한 인구 유입책을 마련해 달라는 요구도 있었다. 반면 읍 지역에서는 중·장년을 위한 여가·생활 시설 확충과 가족 단위 놀이시설 조성 요청이 있었다. 군은 분석 결과와 지역 의견을 수렴해 오는 2025년부터 2029년까지를 기한으로 하는 맞춤형 인구정책 수립에 들어간다. 특히 △결혼·임신·출산 분야 △보육·돌봄·교육 분야 △청년 분야 △중·장년 분야 △노년 분야 △공통 분야 등 생애주기별 총 6개 분야의 추진 전략을 세워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인구정책을 추진할 방침이다. 울주군은 연말까지 최종 사업을 확정한 뒤 오는 2025년부터 본격 인구정책 사업 추진에 들어간다. 정혜윤기자 hy040430@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