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울산연구원이 발표한 ‘울산도시환경브리프 133호’에 따르면 울산 내 30년 이상 노후 주거용 건축물 비중은 26.5%(연면적 기준)로 조사됐다.
울산 5개 구군 가운데 중구가 35.6%로 노후 건축물 비중이 가장 컸다. 이어 동구(35.3%), 남구(30.5%), 울주군(19.8%), 북구(13.1%) 순이다.
울산의 노후 건축물 비중은 2010년대 후반 들어 증가 폭이 크게 두드러진 것으로 확인됐다.
2015년 중구 15.0%, 남구 10.6%, 동구 8.3%에 불과하던 30년 이상 주거용 노후 건축물의 비중은 2023년 각각 35.6%, 30.5%, 35.3%로 급증했다.
이주영 울산연구원 연구위원은 “지역 및 건축물 특성에 맞는 다양한 정비 사업이 검토·도입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위원은 정주 기반이 양호하거나 기반시설의 추가 확충이 용이해 고밀 개발에 따른 부담이 적은 지역은 재건축·재개발사업 등의 정비사업과 공동주택 리모델링, 노후계획도시정비사업 등의 사업 방식을 도입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반면 대규모 정비사업이 어렵고 세가로망이 조성돼 있는 지역은 가로주택정비사업·소규모재건축사업·소규모재개발사업 등 블록 단위의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을 추진하고, 마을 전체가 노후돼 생활SOC의 정비가 함께 필요한 경우 마을 단위 정비사업, 도시재생사업, 농어촌정비사업을 검토하자고 제시했다.
이 연구위원은 “기존 건축물의 철거 후 고밀 개발 또는 대규모의 정비사업 추진이 어려운 경우 개별 건축물 단위로 꾸준히 노후 요인을 관리할 수 있도록 유지, 관리, 수선, 보수를 지원해 커뮤니티 전체가 취약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주영 연구위원은 “무엇보다 노후 건축물의 입지, 주택 유형, 주택 규모, 층수, 노후 정도, 거주자 특성, 인접 지역 특성 등 노후건축물 실태조사를 시행해 노후건축물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 관리 및 유지, 정비 방안을 설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석현주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