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국회 교육위원회 백승아 의원이 공개한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 6~8월 학교 전기요금 현황’에 따르면, 울산시교육청이 올해 6~8월 납부한 학교 전기요금은 35억1724만원이다.
이는 전기요금이 인상되기 전인 2021년 6~8월 25억4152만원보다 10억원가량(38.4%) 오른 것이다. 6~8월 학교 전기요금은 공·사립 유·초·중·고·특수학교가 납부한 전기요금으로, 실제 사용한 달은 5~7월이다.
한국전력은 지난해 2분기 전기요금을 인상한 후 올해 4분기까지 6분기 연속 동결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문제는 일선 학교 현장의 전기요금 부담이 계속 늘면서 지방교육 재정 압박도 커진다는 점이다. 또 폭염에 이어 올 겨울 역대급 한파가 예고되면서 전기요금 ‘폭탄’은 불 보듯 뻔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 지난해 전국 유·초·중·고가 납부한 전기요금은 6969억원으로 2021년 4758억원보다 46.5%(2211억원) 증가했다. 학교운영비에서 전기요금이 차지하는 비중도 2021년 3.57%에서 2022년 3.72%, 2023년 4.06%로 2년 사이 0.49%p 늘었다.
교육계는 학교 전기요금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한다. 지난해 기준 전기요금 판매단가는 kWh당 일반용 169.5원, 주택용 149.8원, 산업용 153.7원, 교육용 138.8원, 농업용 75.1원이다. 교육용 전기요금이 농사용보다 2배가량 비싸다.
이에 울산시교육청은 임시방편으로 각 학교에 냉난방 예산을 추가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울산시교육청 관계자는 “지난해 울산 전체 학교 전기요금이 1년 전과 비교해 26억원 늘어난 것으로 파악돼 부담이 상당한 상태”라며 “공공적인 측면을 고려해 전기요금 단가를 낮춰 학교 부담은 줄이면서 교육 여건은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다예기자 ties@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