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수능 직전에 성행하던 ‘초단기’ ‘초대박’ 강의는 온데간데 없는 분위기다.
20일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교육부는 지난해 6월22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총 1162건의 사교육 카르텔·부조리 신고를 받았다.
지난해 7월 교육부가 발표할 당시 신고 건수는 433건이었는데, 1년2개월 만에 3배로 증가한 수치다.
신고는 대부분 수도권에 집중됐지만, 울산을 비롯한 부산과 경남 지역 신고 사례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해 6월 사교육 카르텔·부조리 신고센터를 개설하고, 사교육 카르텔과 허위 과장 광고 등 사교육 관련 신고를 접수한 바 있다.
지방 학원이어도 규모가 크면 클수록 수도권 학원들과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어 사교육 카르텔의 그림자를 쉽게 벗어나지 못한다는 게 입시업계의 설명이다.
기출 문제 분석부터 자체 해설집 제작까지 학원 간, 강사 간 교류는 사교육 특성상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특히 정부가 수도권 대형 입시학원뿐만 아니라 전국 사교육 현장을 골고루 살펴보고 있는 탓에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모양새다.
이에 현재 울산 학원가에서 ‘1개월 완성반’ 강의는 자취를 감췄고, 암암리에 고액으로 이뤄지던 ‘초대박’ 강의 홍보도 찾아볼 수 없게 됐다.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지역 일부 학원에서는 ‘수능 전 마지막으로 성적을 올릴 기회’라는 내용으로 특강 홍보에 열을 올렸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남구의 한 국어 단과학원 대표 A씨는 “수능 준비가 막바지에 접어들면서 시험 점수를 바짝 올릴 수 있는 특강이 있냐는 문의가 종종 들어온다”며 “사교육 시장을 정조준하는 정부 움직임에 거의 모든 학원에서 조심하고 경계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지역 학부모계는 “공교육 강화와 학생들의 올바른 성장을 위해 공정한 교육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며 “정정당당하게 운영하는 학원들도 있는 만큼 세심하게 단속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다예기자 ties@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