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군에 따르면, 울산은 최근 5년간 소나무재선충병 감염 피해가 특·광역시 중 가장 심각했다. 전국적으로도 경북, 경남에 이어 세 번째로 큰 피해를 입었다. 이 중 울산의 산림 76%를 차지하고 있는 군의 경우 지난 8월까지 11만 그루 이상의 소나무가 재선충 피해를 입어 ‘극심 지역’으로 분류돼 있다.
노미경 울주군의원은 “문제는 현재 소나무재선충병 3차 확산기에 접어들었다는 데 있다”며 “내년 4월까지 군의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규모는 27만 그루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기후 변화에 따른 소나무 자생환경 변화와 매개충 개체 수 증가의 영향이 있지만 △감염 의심목 사전 차단 노력 부족 △무인 항공 방제 미실시 △정부 예산지원 부족 등의 이유가 피해 확산의 주요 원인이라고 노 의원은 지적했다.
노 의원은 “방제 노력에도 불구하고 소나무재선충병의 확산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어 결국 더 많은 예산과 노력을 투입해야 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군의 방제 체계를 점검하고 개선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실제 최근 6년간 군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에 투입된 예산은 최소 45억에서 최대 80억원이었지만, 올해는 지난 8월까지 227억원이 투입되는 등 예산도 대폭 증가했다.
군은 감염 의심목에 대한 적극적인 방제가 이뤄지면 재선충 확산 방지에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지만, 사업비가 약 1000억원 소요될 것으로 추산돼 적극 시행이 어려운 실정이라는 입장이다.
또 선단지 및 집중 발생 지역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무인항공방제도 상수원보호구역, 수원지, 하천, 축사, 꿀벌사육 지역, 주택지 등 살포 제외 지역이 많아 한계가 있다고 덧붙였다. 정혜윤기자 hy040430@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