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분옥 시조시인의 시조 美學과 절제](41)태산이 높다하되 -양사언(1517~1584)
상태바
[한분옥 시조시인의 시조 美學과 절제](41)태산이 높다하되 -양사언(1517~1584)
  • 경상일보
  • 승인 2024.10.25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열 마디 교훈보다 시조 한수

태산이 높다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오르고 또 오르면 못 오를리 없건마는
사람이 제 아니 오르고 뫼만 높다 하더라
<창악집성>

 

▲ 한분옥 시조시인
▲ 한분옥 시조시인

‘티끌 모아 태산’ ‘갈수록 태산’‘걱정이 태산’이라든지 태산과 관련된 말이 많다. 태산은 우리의 의식 속에서 매우 친숙한 산이다.

태산은 중국 산동성에 위치하고 있다. 중국의 오악(五岳) 가운데 하나로, 예부터 진시황제 한무제 등 중국의 황제가 천하를 평정하고서는 직접 올라 하늘에 알리는 봉선의 의식을 거행한 장소였다.

어릴 때부터 위 시조를 욀 때마다 태산은 어떤 산일까를 생각하며 자랐다. 운 좋게도 시골 계집아이로 자라서 태산을 두 번씩이나 오를 기회가 있어, 그 태산을 올랐다.

7200개의 계단으로 4~6시간 걸려서 오르는 산이다. 정상에 서면 인생에서 가장 아름다운 절경을 만날 수 있다. 멀리 우리의 서해를 바라볼 수 있으며, 그들에겐 해 뜨는 동녘하늘을 우러르는 그런 산이라 더욱 신성한 산이다.

처음 올랐을 때는 태산의 정상의 큰 암벽덩어리 바위마다 쓰여진 붉은 큰 글씨에 취했다. 그러다 일행을 놓치고 헤매다가 한군데를 보니 정말 아찔한 급경사의 계단이 까마득히 아래로 펼쳐져 있었다. 그 계단이 바로 7200개의 계단이었다.

그 옛날 황제들은 케이블카도 없고 저 아찔한 계단도 없었을텐데 태산을 어떻게 올랐을까. 아마도 황제는 가마를 타고 올랐을테지, 가마꾼들이 여러 군데 배치되어 있어 황제는 아무 힘들이지 않고 1545m가 넘는 태산을 올랐을 것이다.

필자는 두 번째 태산을 올랐을 때도 역시 케이블카를 타고 올랐지만 태산 정상의 글귀를 찾아보며 멀리 운무 드리운 망망대해를 내려다보는 심회는 남달랐다. 시골 작은 계집아이로 자라 태산을 오른 심회를 다독이며 질끔 흐른 눈물에 긴 숨을 토해냈다.

태산은 198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양사언은 조선 명종, 선조 때의 문신이다. 문장과 서예로 이름이 높다. 태산이 아무리 높다고 해도 하늘 아래 놓인 산이란 것이다

그는 시조 한 수로 열 마디 말이 필요 없는 교훈을 담았다. 시란, 시조란 이런 것이다.

한분옥 시조시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산업수도 울산, 사통팔달 물류도시로 도약하자]꽉 막힌 물류에 숨통을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보상절차·도로 조성 본격화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