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울산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신복교차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는 총 13건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35%(7건) 감소했다. 부상자 수는 10명으로 44.4%(8명) 줄었다.
이마저도 평면화 사업 초기에 차선 혼동에 따라 발생한 사고임을 감안하면, 시간이 흐를수록 사고율은 더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출퇴근길 차량 정체 해소에도 도움이 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시가 분석한 것에 따르면, 평면화 100일 만에 차량 평균 통행 속도는 출근 시간대 11.0㎞/h에서 18.3㎞/h로, 퇴근 시간대에는 9.5㎞/h에서 16.7㎞/h로 60~70% 각각 증가했다.
차량 대기 길이는 출근 시간대 300.4m에서 118.2m로, 퇴근 시간대 274.8m에서 126.4m로 54~60% 각각 감소했다.
울산경찰청은 평면 교통 체계의 효과가 입증된 만큼 시와 협업해 지역 내 다른 회전형 교차로도 단계적으로 평면화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최근 5년간 공업탑로터리와 태화로터리, 서동로터리에서의 사고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공업탑로터리 130건, 태화로터리 137건, 서동로터리 63건 등이었다.
특히 공업탑로터리의 경우 지난해 1월부터 8월까지 사고 14건에 부상자 10명, 올해 1월부터 8월까지는 사고 18건에 14명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태화로터리는 전년도 같은 기간 사고 14건에 부상자 7명, 올해는 8월까지 13건에 부상자 7명으로 집계됐다.
경찰은 복잡한 회전 교차로를 평면화할 경우 보험사기 등의 피해자를 줄이는 데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지난 2021년 9월부터 올해 9월까지 3년간 공업탑로터리에서 보험금을 노리고 고의로 교통사고를 낸 건수는 총 43건이었다. 이는 전국 회전 교차로 중 1위다.
공업탑로터리에서 고의 교통사고로 지급된 보험금은 약 1억4800만원가량으로 확인됐다. 최근에는 국무조정실에서 직접 현장 조사에 나서 대응 방안 마련을 논의하기도 했다.
울산경찰청 관계자는 “트램 노선이 통과할 예정인 공업탑로터리의 평면화를 위해 협의 중”이라며 “로터리 평면화가 복잡한 교차로를 단순화시켜 보험사기 등의 피해자를 억제하는 데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박재권기자 jaekwon@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