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질병관리청 등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의 담배제품 현재사용률은 0.7%p 개선된 22.9%로 나타났다.
하지만 울산은 7개 특광역시 중 담배제품 현재사용률 1위를 차지했고, 전국에서도 충북(25.0%), 충남(24.4%), 경북(23.5%) 다음으로 높았다.
울산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타 시도 대비 수치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평가됐다.
구군별로 중구 23.0%, 남구 23.3%, 동구 25.1%, 북구 20.0%, 울주군 23.9%로 동구가 가장 높았다.
이는 조선소가 몰려있어 남초 사회인 지역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고된 업무의 스트레스를 흡연으로 해소하려는 남성 비율이 높은 지역이어서 담배제품 사용률이 눈에 띄게 낮아지기 어려운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다. 지난해 울산 학생의 흡연율은 4.5%로 전국 평균(4.2%)보다 높았다.
흡연은 폐암, 심장질환, 뇌졸중 등 다양한 질병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울산의 폐암 사망률이 전국 최고 수준인 것은 한두 해 일이 아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시민들이 스스로 ‘노담’(No 담배)할 수 있는 정책이 촘촘하게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동시에 금연 실패자를 위한 지원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시 자체적으로 흡연 단속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장기적인 안목에서 금연 성과를 내려고 노력 중”이라며 “비흡연자가 흡연하지 않고, 금연 실패자가 다시 흡연하지 않도록 담배 예방 조기 교육을 더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다예기자 ties@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