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이 수소 시범도시에서 ‘완성형 수소도시’로 도약하며 국내 수소산업 선도에 박차를 가하게 됐다. 울산시는 수소 시범도시로 확보한 기반을 바탕으로 기존 생활권 및 단위 시설에서 도시 전체로 수소산업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정부는 지난 1일 서울 세빛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7차 수소경제위원회를 열고 국토교통부가 제출한 ‘Next Level 수소도시(2.0)로 도약을 위한 수소도시 추진전략’ 안건을 논의했다.
최근 3기 수소도시로 선정된 울산에서는 ‘수소산업을 선도하는 완성형 수소도시’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수소도시란 수소를 주에너지원의 하나로 사용하는 도시로, 수소를 도시 내 생활 전반에 활용할 수 있는 도시기반시설을 갖춘 수소 특화도시를 말한다.
우선 지역의 차세대 인프라를 통해 수소 활용 범위가 대폭 확대될 전망이다. 이는 광역 단위에서 블루·그린 수소를 수송·사업·건물·발전 등 도시 구성요소 전 분야에 활용하게 된다는 뜻이다. 이렇게 되면 수소 에너지는 산업단지, 문화센터, 실버타운과 트램, 도심항공교통(UAM) 같은 모빌리티 인프라까지 활용될 수 있다. 기존에는 생활권 단위(3~10㎞) 안에서 액화천연가스(LNG) 등을 화학적으로 변형해 만든 그레이수소를 건물, 충전소에 활용하는 정도였다.
특히 울산처럼 수소 생산이 우수한 지역과 주변 지역을 연결하는 광역연계형 수소도시 모델도 마련된다. 울산이 새로운 수소도시의 거점이 돼 미래 수소산업의 또 다른 동력을 얻게 될 기회로 지목된다.
국토부는 2025년까지 총 12곳에서 수소도시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추진 도시는 울산을 비롯해 평택, 남양주, 당진, 보령, 광양, 포항, 양주, 부안, 광주 동구, 울진, 서산이다.
이들 도시에 수소 배관을 2027년까지 90㎞, 2040년까지 280㎞ 확충해 안정적 수소 공급망을 구축한다. 울산은 2028년까지 11.9㎞ 길이의 수소 파이프를 설치할 계획이다. 또 2040년까지 블루·그린수소 생산 비중을 50%로 확대하고, 도시 내 10% 에너지 분담률에 도전한다. 지역별 안전운영센터 확충과 중앙 차원의 관리도 강화한다.
앞서 국토부는 울산, 전주·완주, 안산 세 곳을 수소 시범도시로 운영하면서 수소 생태계 구축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하지만 활용 분야가 주택과 교통시설 등에 한정돼 있다는 한계가 나타났다. 실제 울산의 경우 하루 3.9t의 수소 생산시설 구축 등으로 눈에 띄는 효과는 있었지만, 활용 분야가 다소 한정돼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울산시는 이런 정부 계획에 발맞춰 다양한 형태의 수소생태계 구현에 집중하고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은 실증 규모부터 목표로 하면서 청정수소로 가는 길목에 서 있다”며 “앞으로 수소도시 사업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탄소 중립 사회로의 이행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다예기자 ties@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