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는 총 공사비 537억원을 투입해 물금읍 가촌리 1312-1 일대에 연면적 1만7833㎡,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의 종합복지허브타운(이하 ‘복지타운’) 건립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 공사는 당초 올해 말 준공 예정이었다.
하지만 잦은 우천 등의 영향으로 공사가 지연되면서 준공은 내년 4월로 연기됐다.
이후 입주할 기관에 맞춰 리모델링 공사가 진행되면 실제로 문을 여는 것은 내년 말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게다가 가족센터와 건강증진센터 등을 제외한 입주 기관도 지금까지 미정인 상태라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당초 복지타운은 사회적 약자 등 다양한 계층에게 보편적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회통합 기능을 하는 시설물로 건축하기 위해 사회복지시설과 장애인복지시설, 노인복지시설, 가족센터, 작은도서관, 건강증진센터 등 복합시설로 건축할 계획이었다.
이에 따라 시는 양산시종합사회복지관, 양산시장애인복지관, 양산시노인복지관 등 양산의 주요 복지관들이 대거 복지타운에 입주한다는 그림을 그렸다.
하지만 복지관 이전이 현실적인 벽에 부딪히면서 이러한 계획들이 재검토에 들어갔다. 현재의 복지관이 복지타운으로 빠져나갈 경우 그 후유증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2004년 물금읍 범어리에서 개관한 양산시종합사회복지관과 2015년 중앙동에서 개관한 장애인·노인복지관은 사회적 약자를 위한 복지 서비스는 물론 다양한 교육·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지역에서 터를 잡았고, 이에 맞춰 상권도 자리잡았다.
이러한 복지관들이 대안 없이 이전할 경우 발생할 부작용이 우려스럽다는 지적이다.
이에 시는 이같은 기관 입주 여부에 대한 혼란을 정리하기 위해 지난 7월 1994만원을 들여 경남지방행정발전연구원에 ‘종합복지허브타운 운영계획 수립 연구 용역’을 발주했다. 어떤 복지시설이 입주하고 어떤 서비스를 제공해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용역에 착수했다. 김갑성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