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세미나는 갈수록 심각해지는 기후위기 속에서 ‘2050 탄소제로’라는 국가적 목표달성을 위한 생존전략인 ‘기후테크’의 발전전략에 대한 논의가 중점적으로 다뤄졌다.
세미나는 기후테크의 최신 동향과 추진 전략이 공유되고, 환경부와 기업 관계자, 교사, 각계 전문가로부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현장의 목소리와 기업 대응 사례 발표가 진행됐다. 이어 갈수록 심각해지는 기후위기 속에서 ‘2050 탄소제로’라는 국가적 목표 달성을 위한 생존전략인 ‘기후테크’의 발전전략에 대한 의견도 교환했다.
김기현 의원은 환영사에서 “기후테크는 탄소중립시대를 준비함과 동시에 기업 성장과 이익을 위한 새로운 돌파구다”며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은 물론, 다양한 전문가를 포함한 민간영역까지 모두가 맞물려 돌아가는 톱니바퀴처럼 유기적으로 움직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김 의원은 “경쟁력 있는 탄소중립 실현과 지속 가능한 산업발전을 이뤄내는 것이 중요하다”며 “특히 대한민국의 산업수도인 울산을 지역구로 둔 만큼 더욱 큰 관심을 기울이고, 법적,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장대식 넷제로 2050 기후재단 장대식 이사장은 개회사에서 “기후테크는 기술적·사회적 전환을 통해 환경적 가치와 경제적 번영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이라며 “이번 세미나는 기후테크가 탄소중립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실현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논의하는 중요한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상헌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