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시에 따르면, 시와 구·군은 지난 10월부터 지역 성인 PC방 실태에 대해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기존에는 문화체육관광부의 새올행정시스템에 성인 PC방이라는 내용을 따로 기재할 수 없었고 일반 PC방과 같은 업종으로 분류했다. 이로 인해 울산뿐만 아니라 전국 성인 PC방에 대한 제대로 된 집계를 산출할 수 없는 실정이었다.
특히 울산은 시민들이 체감할 정도 도심 곳곳에 성인 PC방이 우후죽순 들어서고 있지만 정확한 집계가 없어 단속에 난항을 겪었다. 이러는 사이 일선 현장에서는 등하굣길까지 성인 PC방이 침투해 학부모들이 반발하는 등 민원이 잇따랐다.
울산은 서울 등 타 특·광역시 대비 학교 수는 적고, 도시 면적은 넓어 PC방 인허가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실제 울산경찰청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울산 내 신고 및 등록된 오락실, 일반 PC방을 포함한 ‘게임장’ 수는 지난 2021년 1600곳, 2022년 1705곳, 지난해 1909곳으로 증가했다.
덩달아 경찰의 불법 PC방 적발 건수도 2020년 13건, 2021년 29건, 2022년 35건, 지난해 36건 올해 1~8월 40건으로 늘어났다.
현재 시는 전수조사를 통해 미완료한 중구를 제외한 울산 내 성인 PC방 수를 650곳으로 집계했다. 집계가 끝나면 800여 곳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시는 전수조사를 통해 얻은 결과를 경찰과 공유해 통합 단속 등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지자체 관계자는 “단속하고 돌아서면 새로 생기는 수준이다. 체감상 PC방 인허가 신청의 3분의2가 성인 PC방이다”며 “PC방 관련 일만 하는 게 아닌 데다, 관할 구역은 넓고 인력은 부족하다. 전수조사가 이뤄지면 일반 PC 방과 성인 PC방 점검 시 활용할 점검 기준을 세우는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신동섭기자 shingiza@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