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3일 울산시교육청 현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6월부터 지난주까지 여러 차례 교육부 및 17개 시·도교육청으로 구성된 사측과 집단 임금교섭을 진행했지만 협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6일 총파업을 시작으로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에 대한 차별 해소의 첫 발을 내딛을 것”이라고 밝혔다.
울산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울산지부, 전국여성노동조합 울산지부,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울산지부로 구성돼 있다. 학비연대는 중앙노동위원회의 조정중지 결정과 조합원 쟁의행위 투표 찬성 가결에 따라 합법적 쟁의권을 확보한 상태다.
이들은 △기본급 11만원 인상 △직무보조비 월 5만원 △정근수당 신설 △근속수당 급간 9000원 인상 △명절휴가비 기본급의 120% 인상 △정기상여금 50만원 인상 등을 요구하고 있다.
연대회의는 이번 총파업에 학교 200여 곳의 비정규직 노동자 1000여 명이 참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서울 상경 투쟁 인원은 300명가량이다.
시교육청은 학교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모든 학교에 각종 대책을 안내했다. 각 학교에서는 총파업 관련 내용과 협조 사항을 담은 가정통신문을 학부모들에게 발송했다.
시교육청은 학생들이 개인 도시락을 지참하고, 도시락을 준비하지 못한 학생에게는 간편식을 제공하는 등의 방안을 마련했다. 교직원과 총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인력을 최대한 활용해 유치원 방과후 과정, 초등 돌봄, 특수교육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할 계획이다.
시교육청은 6일 총파업 종료 때까지 파업 대응 상황실을 운영해 각 학교의 파업 참가 현황을 살피고, 노동 관련 법규 준수 여부 등을 지속해서 점검할 예정이다. 이다예기자 ties@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