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학교 교수 85명은 5일 시국선언문을 내고 “윤석열 정부는 결국 자멸의 길을 선택했다”며 “국민 기본권을 지키고 헌법을 수호해야 할 책무를 저버린 채 계엄령이라는 극단적 조치를 통해 오로지 자신의 권력만을 방어하려 시도했다”고 규탄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부는 국내외에서 발생한 주요 현안에 대해 무능하고 무책임했고, 무책임한 대응은 재난과 사회 문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라며 “경제적 실정과 무도하게 추진된 의대 증원 역시 국민에게 큰 고통을 안겼지만, 정부는 실질적 대책을 내놓지 못했고 경제적 어려움에 시달리는 국민 고통에 귀를 기울이지도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에 대한 국민 신뢰는 바닥으로 추락했고, 겨우 2년 반이 지났을 뿐인데 미래에 대한 희망도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누렸던 자부심도 사라졌다”며 “이제 윤 대통령이 대통령으로 할 수 있고 해야만 하는 유일한 일은 즉각 하야하는 것뿐”이라고 주장했다.
지역 교육계는 사전에 예고한 행사 일정을 줄줄이 취소하고, 파업에 총력 집중하는 모습이다.
집단 임금교섭 난항을 겪고 있는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6일 하루 전면 총파업을 벌인다. 총파업 현장에서 비상계엄을 선포한 정권 퇴진도 촉구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울산시교육청은 대체 급식 제공과 함께 돌봄 공백 최소화 방안을 마련했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울산지부도 6일 교육공무직 차별 해소와 윤석열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는 총파업 대회를 실시한다. 당일 시교육청에서부터 태화강 국가정원 만남의 광장까지 행진 투쟁을 한다.
울산교육연대는 비상계엄 사태에 대응하고자 AI디지털교과서 도입 반대 기자회견을 취소하기로 했다. 앞서 노옥희재단도 발대식을 연기하고, 촛불집회에 참여하며 정권 퇴진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다예기자 ties@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