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윤 대통령이 12일 ‘국민께 드리는 말씀’이라는 제목의 대국민 담화를 통해 ‘12·3 비상계엄 사태’ 관련 책임자 수사와 처벌, 탄핵 등 요구에 “광란의 칼춤” “거대 야당의 거짓 선동”이라는 입장을 밝히며 사실상 퇴진을 거부하자 울산 등 전국 각지 시민단체는 물론 대학가 등을 중심으로 격앙된 반응이 쏟아지고 있다.
실제 이날 비정치권인 울산지역 청년과 대학생, 교수 등 1880여명이 캠퍼스와 거리로 나와 대통령 탄핵을 촉구하고 나섰다.
UNIST 본부 앞 광장에서 열린 시국선언식에 참석한 UNIST 구성원 100여명은 선언문을 차례로 낭독했다. 시국선언에는 UNIST 교수 183명, 대학원생 336명, 학부생 283명, 직원 86명 등 888명이 참여했다.
이들은 “반헌법적 비상계엄은 우리 국민과 국가를 향한 내란 시도며 임의로 대통령 권한을 나눠 가지려는 야합 또한 헌법을 파괴하는 행위”라며 “윤석열에 대한 즉각적인 탄핵을 시행해 지체 없이 민주주의를 회복하고 헌법 질서를 바로 세워야 한다”고 밝혔다.
또 롯데백화점 울산점 앞에서는 울산 청년 1000명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과 국민의힘 해체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여권 내 탄핵 찬성 기류도 확산되는 분위기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지금은 탄핵으로 대통령의 직무 집행 정지를 시키는 것이 문제를 해결할 유일한 방법이다. 당론으로 탄핵에 찬성해야 한다”고 선언한 데 이어 윤 대통령의 제명·출당을 위한 당 윤리위원회 소집을 긴급 지시했다.
한 대표가 당론으로 탄핵에 찬성 투표하자고 나선 상황에서 투표권을 가진 친한(친한동훈)계와 중립 성향 의원들을 중심으로 찬성 입장이 연이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오세훈 서울시장도 “윤 대통령이 탄핵소추를 통해 법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국회의 2차 탄핵안 표결을 앞두고 그동안 탄핵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였던 오 시장이 찬성 입장을 밝힌 것이다. 당 소속 김태흠 충남지사도 “육참골단의 심정으로 탄핵 절차를 밟자”고 제안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지난 나흘간의 ‘칩거’를 깨고 다시 용산 대통령실에서 대국민 담화를 발표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담화에서 계엄 선포 배경에 대해 “자유민주주의 헌정 질서의 붕괴를 막고, 국가 기능을 정상화하고자 했다. 대통령의 헌법적 결단이자 통치행위가 어떻게 내란이 될 수 있느냐”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도대체 2시간짜리 내란이라는 것이 있느냐. 질서 유지를 위해 소수의 병력을 잠시 투입한 것이 폭동이란 말이냐”고 반문했다.
윤 대통령의 이러한 예상치 못한 담화는 계엄에 대한 지지층 결집을 호소하는 동시에 앞으로 전개될 법리 다툼을 대비해 방어 논리를 미리 구축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192석 거대 야권은 “극단적 망상의 표출이자 대국민 선전포고”라고 십자포화를 퍼부었다.
헌법기관인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날 윤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에서 12·3 비상계엄 선포의 사유로 선관위의 전산시스템 점검을 거론한 데 대해 “부정선거에 대한 강한 의심으로 인한 의혹 제기는 자신이 대통령으로 당선된 선거관리 시스템에 대한 자기부정과 다름없다”고 정면 반박했다.
한편 국회는 이날 본회의를 열어 더불어민주당이 발의한 박성재 법무부 장관과 조지호 경찰청장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통과시켰다.
야당이 발의한 네 번째 ‘김건희 여사 특검법’과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3일 선포했던 비상계엄의 위법성을 조사하기 위한 특검법도 이날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김두수·이다예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