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별수주 영향, 韓 조선 수주 8년만에 최저
상태바
선별수주 영향, 韓 조선 수주 8년만에 최저
  • 서정혜 기자
  • 승인 2024.12.16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료사진
자료사진

올해 고부가가치 선박을 중심으로 한 선별수주 영향으로 글로벌 조선 시장에서 한국의 수주 비율이 2016년 이후 8년 만에 최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수주량도 경쟁국인 중국의 4분의 1가량에 그칠 것으로 예상돼 국내 조선업계가 선별 수주로 수주 질(質)을 높이기에 앞서 경쟁력 확보를 위해 일정 이상의 수주량을 유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5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1~11월 글로벌 시장에서 총 6033만CGT(표준선 환산톤수·2159척)의 신조선(새 선박)이 발주된 가운데 한국은 이 중 1092만CGT(248척)를 수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한국의 4배에 달하는 4177만CGT(1518척)의 수주량을 기록해 국가별 수주 비율은 중국과 한국이 각각 69%, 18%였다.

이로써 올해 한국 조선업계의 글로벌 수주 비율은 20% 아래로 떨어질 것이 유력해졌다.

또 2016년 15.5% 이후 가장 낮은 수주 비율을 기록할 것도 확실시된다.

2016년은 전 세계 조선업체들이 극심한 불황으로 수주난과 구조조정을 거쳤던 시기다.

여기에다 중국과 한국의 수주량 차이는 현재까지 3085만CGT로, 올해 두 국가의 수주량 격차도 사상 최대로 벌어질 전망이다.

한국의 수주량이 조선 ‘빅사이클’(초호황기)에도 중국에 크게 밀리는 것에 대해서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내 조선업체들이 3년이 넘는 수주잔고(남은 건조량)에 따라 독(건조공간)이 꽉 차 선별 수주에 나설 수밖에 없었다고 하지만 시장경쟁력을 위해 기본적인 수주량은 유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다만 우리 조선업을 지탱하고 있는 ‘빅3’ 조선업체들이 올해 호실적을 올린 것은 고무적이다.

HD한국조선해양(HD현대중공업·HD현대미포·HD현대삼호)은 올해 현재까지 총 205억6000만달러를 수주해 연간 수주 목표 135억달러의 152.2%를 달성했다.

나머지 빅3인 삼성중공업과 한화오션도 고부가가치 선박을 중심으로 각각 68억달러, 81억5000만달러어치를 수주하는 등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다.

이에 물량 공세를 펼치는 중국에 맞서 우리나라도 중소형 조선소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캐파(생산능력) 자체를 늘려야 한다는 조언도 제기된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비록 건조 일감이 많이 남아있다고 하지만 양적인 지표에서 중국에 크게 밀리는 것은 좋지 않은 징조다”며 “우리나라가 세계 1위 조선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수주는 필수다”고 말했다.

서정혜기자·일부 연합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산업수도 울산, 사통팔달 물류도시로 도약하자]꽉 막힌 물류에 숨통을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보상절차·도로 조성 본격화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