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양산시 등에 따르면 경남도와 양산시는 최근 부산대 양산캠퍼스 유휴부지 매각 가격에 대한 입장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부지 소유기관인 부산대와 공간혁신구역 선도사업 공공 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감사원 컨설팅’을 제안했다.
부산대와 LH는 경남도와 양산시의 제안을 받아들이는 것은 물론 사실상 ‘유권해석’ 효력을 갖는 감사원 컨설팅 결과도 수용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양측의 갈등 때문에 지지부진했던 공간혁신구역 후속 절차가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부산대는 공간혁신구역 선도사업에 필요한 양산캠퍼스 유휴부지를 현 시세에 따라 매각한다는 방침이지만, 양산신도시를 조성한 LH는 20여 년 전 부산대에 양산캠퍼스 부지를 매각할 당시 가격에 이자를 지불하는 방식 등으로 환수하겠다는 입장이다.
감사원 컨설팅이 시작되면 갈등을 빚고 있는 양측의 입장을 분석, 배임죄 등에 해당하지 않는 중재안이 도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르면 연말, 늦어도 내년 상반기 중에 결과가 나올 전망이다.
앞서 경남도와 양산시 등은 지난해 6월 부산대 양산캠퍼스 110만㎡ 중 유휴부지로 방치 중인 54만2000㎡(실버산단과 첨단산단) 부지에 4000가구의 주거단지와 산학연구단지, 문화시설, 공원 등을 조성하기로 하고 정부 공간혁신구역 선도사업 공모를 신청, 지난 7월 선정됐다.
공간혁신구역 선도사업은 국·공유지 등 사업 추진이 용이한 지역에 국토교통부와 지자체, LH 등 공공 시행자가 협력해 추진하는 공공주도 선도 사업 형태다. 사업에 선정되면 땅의 용도와 용적률, 건폐율 등 밀도를 자유롭게 계획해 개발할 수 있게 된다. 김갑성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