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절반 올해 자금사정 전년보다 더 악화
상태바
중소기업 절반 올해 자금사정 전년보다 더 악화
  • 김은정 기자
  • 승인 2024.12.24 00: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지난해보다 자금 사정이 악화한 중소기업이 더욱 늘어났고 매출 규모가 작거나 비수도권 소재 기업일수록 자금 사정이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중소기업 금융 이용 및 애로 실태조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올해 자금 사정을 묻는 질문에 ‘악화됐다’고 응답한 중소기업이 47.2%로 가장 많았다. 이는 지난해 31.7% 대비 15.5%p 증가한 수치다.

특히 그중 매출액 규모가 작을수록, 수도권보다는 비수도권 소재 중소기업의 자금 사정이 더 어려운 것으로 조사됐다.

매출액 10억원 미만 중소기업 중 58.4%가 전년 대비 ‘악화됐다’고 응답한 반면, 매출액 100억원 이상 기업 중 자금 사정이 더 ‘악화됐다’고 응답한 기업은 22%에 불과했다.

또 비수도권 기업 중 48.2%가 자금 사정이 ‘악화됐다’고 응답한 것에 비해 수도권 소재 기업 중 ‘악화됐다’고 응답한 기업이 2%가량 적었다.

올해 자금 사정이 악화됐다 응답한 기업 중 59.3%가 ‘판매 부진’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그 뒤를 ‘원·부자재 가격 상승’(41.9%)과 ‘인건비 상승’(26.3%) 등이 뒤따랐다.

또 올해 은행에서 신규대출 및 기존 대출 연장을 신청한 기업 중 37.1%가 ‘4건 이상’의 대출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은행을 통한 자금조달시 애로사항으로는 ‘높은 대출금리’(46.9%)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은행 대출과 관련한 요구사항은 ‘대출금리 인하’(74.6%)가 가장 높았다. 이에 더해 중소기업에 가장 절실한 금융지원 과제로 38.6%가 ‘금리부담 완화 정책 확대’를 꼽아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중소기업의 금융비용 부담 해소가 절실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중소기업중앙회 부산울산지역본부에서 발표한 2025년 1월 중소기업 경기전망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2월 부산·울산 지역 중소기업의 경기전망지수(SBHI)는 67.6으로 팬데믹 시기인 2020년 9월의 68.1보다도 낮았다.

김은정기자 k2129173@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 부동산 시장 훈풍분다
  • 울산의 초가을 밤하늘 빛으로 물들였다
  • 2025을지훈련…연습도 실전처럼
  • 국정기획위원회,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 어떤 내용 담았나
  • 한국드론문화협동조합 양산서 공식 출범
  • 한미 조선협력 ‘마스가 프로젝트’ 울산서 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