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역량 있는 베이비붐 세대가 노인 세대로 유입되고 있는 만큼 단순 활동 일자리가 아닌 경험과 역량이 필요한 신노년 세대의 수요를 적극 반영해 다양한 전문 일자리를 확대할 방침이다.
울산시는 노후 소득 보충과 사회참여 활동 기회 제공을 위해 노인 일자리 확대를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참여 대상은 65세 이상(일부 사업은 60세 이상 참여 가능)이다.
내년 노인 일자리 예산은 총 747억원을 책정했다. 이는 올해 690억원보다 57억원 증가한 수치로 역대 최대 규모다.
노인 일자리 수 또한 1만7021개로, 지난해(1만6019개) 대비 1002개 증가했다.
사업은 공익활동형, 사회서비스형, 시장형 등으로 구분된다.
공익활동형은 월 30시간(하루 3시간 이내) 활동에 29만원의 활동비를 받고 스쿨존 교통 지원, 마을 환경 정비, 노노케어, 호랑이순찰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일자리다.
사회서비스형은 월60시간(주15시간 이내) 활동에 최대 76만1000원(주휴수당 포함)의 급여가 지급된다. 시니어 컨설턴트, 시니어 금융지원단, 경로식당 도우미, 우체국 도우미 등 재능을 보유한 어르신들이 자기 만족과 성취감 향상, 지역 사회 공익 증진을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봉사 성격의 각종 활동이다.
민간형으로 분류되는 시장형 일자리 참여자는 학교급식 지원, 제조·판매형 사업, 실버카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일하게 된다.
울산시 관계자는 “늘어나는 노인 인구에 따라 노인 일자리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며 “단순 양적 팽창이 아닌 경험이 많고 역량이 높은 신노년 세대 수요에 맞춰 다양한 양질의 일자리를 적극 개발해 지역 문제 해결, 공급이 부족한 사회서비스 영역 업무 보완 등 질적 내실화를 통한 전문 일자리를 대폭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