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부동산리서치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분양한 24만1866가구 가운데 10대 건설사(2024년 시공능력평가 기준)가 공급한 물량은 12만538가구(49.8%)로 절반에 달했다. 지난 2022년 전체 공급 물량 33만8351가구 중 10대 건설사의 물량은 11만9029가구(35.2%)로 전체 3분의 1 수준이었지만, 2023년 43.9%로 치솟더니 지난해에는 절반에 육박했다.
대형 건설사의 공급 물량을 보면 GS건설이 1만9676가구로 가장 많았고, 현대건설 1만9325가구, 대우건설 1만8601가구, 롯데건설 1만7132가구, 포스코이앤씨 1만2674가구, HDC현대산업개발 8578가구, DL이앤씨 8425가구, SK에코플랜트 5808가구, 현대엔지니어링 5249가구, 삼성물산 5070가구 순이었다.
특히 서울에선 지난해 분양물량 10가구 가운데 8가구가 대형 건설사 차지였다.
10대 건설사가 서울에서 공급한 물량은 2022년 2만2891가구(86.3%), 2023년 1만9414가구(81.5%), 2024년 2만3711가구(82.8%) 등이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공급 물량도 2024년 13만9285가구 가운데 10대 건설사 물량이 6만8402가구를 기록해 전체의 49.1%를 차지했다. 2022년과 2023년에는 대형 건설사 공급 비중이 각각 37.0%, 46.3% 수준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크게 늘었다.
울산을 비롯한 5대 광역시도 분양물량 절반은 대형 건설사 차지였다. 지난해 10대 건설사의 5대 광역시 공급 비중은 55.3%로 한 해 전(38.3%)보다 20%p 가까이 늘었다.
대형 건설사는 지난해 지방에서도 분양 물량 점유율 45.4%(2023년 42.7%)를 기록했다. 이같은 대형 건설사 쏠림은 청약 시장에서도 그대로 드러났다. 지난해 1~11월 전국 10대 건설사의 1순위 청약 평균 경쟁률은 17.2대 1이었으나 그 외 건설사는 8.7대 1에 그쳤다. 서정혜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