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UNIST에 따르면, 박 총장은 최근 새해를 맞아 구성원들에게 전하는 특별 메시지에서 “대전환의 시대에 UNIST는 교육, 연구, 국제화 전반에 새로운 길을 여는 ‘파이오니어’(개척자·Pioneers)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
박 총장은 ‘파이오니어 UNIST’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교육, 연구, 국제화 부문에서 세 가지 전환적 혁신 전략을 제시했다.
우선 교육 부문에서 학생들이 창의적 통찰력과 융합적 연결력을 갖춰 글로벌 무대에서 활약하도록 인공지능(AI) 활용 능력과 영어 토론 등 필수 역량을 끌어올리기로 했다.
연구 부문에서는 미국 스탠퍼드대처럼 지역 산업과 첨단기술을 연결하는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내세웠다. 디지털 전환을 비롯해 스타트업 육성과 기술 이전을 가속해 연구 성과가 산업 현장에 즉시 적용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국제화 부문에서는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를 확장해 세계 명문대학으로 나아갈 기틀을 다지기로 했다.
박 총장이 밝힌 UNIST의 연구 지향점은 ‘마당은 좁게, 담장은 높게’(Small Yard High Fence)로 요약된다.
이는 핵심 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으로 강점은 더 키우고, 외부 변화에도 흔들리지 않는 회복 탄력성을 증진하겠다는 전략이다.
박 총장은 “UNIST가 학문과 산업, 지역과 세계가 상호 작용하며 함께 성장하는 ‘공진화(Co-Evolution) 대학’으로 자리매김하겠다”며 “2025년은 과학기술원 전환 10주년이 되는 해로, UNIST 변화와 도약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다예기자 ties@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