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당인 국민의힘 지도부가 거대 야권인 더불어민주당 지도부에 여야정협의체 본격 가동 필요성을 제안하고 나서자, 야권 지도부가 화답하면서 일단 청신호가 켜지고 있다.
하지만 추가경정예산안(추경) 편성 여부와 관련된 여야 지도부가 입장이 엇갈리는 상황이다. 외형적으론 민생 회복에 역점을 두면서도 물밑에선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둔 정국 주도권 경쟁으로 비화할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날 민주당 이재명 대표를 향해 “민생에 진심이라면 여야정협의체부터 복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이 대표는 전 국민 25만원 지역상품권 포기를 시사하며 추경만이 죽어가는 민생경제의 심장을 살릴 것이라며 짐짓 대인배 행세를 했지만, 민생경제의 심장을 멈추게 한 장본인이 바로 이 대표 자신”이라고 말했다.
권 원내대표는 이어 “지난해 12월 민주당은 지역상품권 예산 1조원 증액을 요구했으나, 정부·여당이 난색을 표하자 4조1000원 규모의 민생 예산을 삭감해 버렸다”며 이로 인해 수사기관 특수활동비, 재난 대응 예산, 연구개발(R&D) 예산이 대폭 깎였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다리를 부러뜨려 놓고 연고를 바르면 된다는 이재명식 정치가 초래한 현실이다. 이 대표는 정치적 유불리에 따라 보호색을 바꾸는 카멜레온 정치를 하더니, 이번엔 지역상품권 포기 운운하며 악어의 눈물을 흘렸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 “이번 추경의 원칙은 분명하다. 정치 논리를 배제하고, 취약계층을 지원하며 식어가는 경제 동력을 살리는 데 집중해야 한다. 무차별 삭감된 민생 예산의 원상 복구가 시작”이라고 했다.
권 원내대표는 이와 함께 “어떤 분야에, 어느 정도 규모의 추경이, 왜 필요한지 논의하기에 여야정협의체의 테이블은 충분히 넓다. 여야정협의체에서 일단 정책위의장들 선에서 논의를 시작해 보자고 제의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민주당 이날 “민생이 어려우니 추경을 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해 주는 게 논리적으로 보면 우선”이라고 했다.
김윤덕 사무총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여야정협의체든 뭐든 어떤 거라도 할 수 있으면 해야 한다는 게 기본 입장이지만, 국민의힘과 정부가 추경 관련 입장을 분명히 해달라”라고 요구했다.
김 사무총장은 “이번 명절에 보셨겠지만 경제 좀 살려달라, 먹고 살아야 미래도 있는 것 아니냐 하는 국민의 목소리가 크기 때문에 뭐든지 할 수 있으면 하자는 게 민주당의 입장임을 다시 한번 말씀드린다”고 강조했다.
앞서 이재명 대표는 지난달 31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정부·여당이 ‘전 국민 25만원 민생 회복지원금’에 반대해 추경 편성이 이뤄지지 않으면 추경 요구 사항에 이를 포함하지 않겠다고 한 바 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