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지역 여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1호 당원’격인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탄핵 후 헌법재판소의 최종 선고를 앞둔 상황에서, 김 시정부가 추진하는 주요사업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는 것과 관련해 당정협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탄핵 사태 이전 지역 당정은 매년 초부터 수시로 공개·비공개 국비·현안 협의에 이어 여야 의원들이 참석하는 지역국회의원협의회(회장 김기현)를 통해 대정부 대처 방안을 모색해 왔다.
하지만 윤 대통령 탄핵 직후부터 대통령실을 비롯한 정부 유관 부처를 상대로 한 국비·현안 대처가 탄력을 받지 못하고 있다. 여기다 정치권 갈등이 장외전으로 확전되면서 시정부와의 협의 자체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특히 지역 여권 내부에서조차 탄핵 찬성과 반대 입장으로 갈등의 골이 깊어진 가운데, 김상욱 시당위원장의 자진 사퇴와 새로 선출된 박성민 위원장 체제를 계기로 불안정한 지역 여권을 안정 국면으로 전환해야할 과제도 안고 있다.
김두겸 시장과 국민의힘 울산 출신 김기현(울산 남구을)·박성민(울산 중구)·서범수(울산 울주군)·김상욱(울산 남구갑) 의원은 지역 여권의 최고 리더다. 사실상 집권당의 울산 지역 컨트롤타워인 셈이다.
하지만 탄핵정국을 거치면서 현역 의원 간 정치 질서가 위기에 직면했다. 화합은 사실상 물 건너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더욱이 전국 17개 시도당 가운데 울산 출신 의원 간 갈등이 가장 높다는 비판도 나온다.
김기현 전 대표와 박성민 시당위원장은 탄핵 반대 입장을 펼치며 장외 전선에 뛰어들었고, 한동훈 대표 체제 사무총장을 지낸 서범수 의원과 김상욱 의원은 각자도생으로 전환한 모양새다. 때문에 의원 상호 간 정치적 신뢰를 담보한 스킨십은커녕 ‘서로 안 보는 게 좋다’고 할만큼 갈등의 골이 깊게 패인 상황이다.
더욱이 이런 현실에서 만일 조기 대선이 치러지게 될 경우엔 지역 여권 내부 불신과 갈등은 치유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격화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이런 가팔라진 현실에서 김 시장이 국비·지역 현안 협의는 시정부를 중심으로 각개대처를 하고 있으나, 지역 의원과 머리를 맞대 해법을 모색하는 자리가 시급한 상황이다.
또한 지역 당정협의를 계기로 지역 여권 전체가 조기 안정화를 통한 지역발전에도 힘을 합쳐야 한다는 주문이 나온다.
지역 여권의 한 원로는 5일 “탄핵정국 속에 울산 지역 여권 인사들이 분열을 넘어 감정 대립의 행태가 심각한 수준”이라면서 “연장선에서 당소속 시의원들의 갈등으로 시의회 의장 공백 파행까지 겹치고 있다. 김두겸 시장과 국회의원들이 참석하는 당정협의회를 얼어 지역 현안도 해결하고 화합모드를 조성할 때”라고 주문했다.
시 정부의 화급한 현안은 2026년도 국비 2조9000억원 확보 전략에서부터 2025년 지방시대 엑스포 유치 등 산적한 것으로 파악된다. 울산 도시철도 2호선 건설 사업도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에서 제외된 상황이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 유관 부처를 상대로 긴밀한 소통이 시급하다.
오는 10월 울산공업축제 기간 울산공항 국제선 부정기노선 취항 추진과 관련해 국토교통부와의 대처방안도 중요하다. 오는 2028년 울산국제정원박람회 개최 장소인 삼산·여천매립장 완충녹지지구 철도 부지 확보에 있어서도 정치권의 협조가 필요하다.
특히 10년 이상 답보상태인 울산권 맑은물 공급과 관련해 정부 유관부처 등을 상대로 전방위 대처가 급선무로 파악된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