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확대 정책으로 산업도시 울산이 비상 대응태세에 들어갔다.
특히 미국이 예고한 수입 자동차에 대한 25%의 고율 관세가 한국산 자동차에도 적용될 경우, 자동차 산업이 중심인 울산 경제에 심각한 타격이 예상된다. 이에 울산시는 지역 내 수출 관계 기관과 협력해 대응책을 마련하고 피해 최소화에 나섰다.
울산시는 5일 시청에서 이영환 시 기업투자국장과 임태훈 울산중소벤처기업청 수출팀장, 박미정 중소벤처진흥공단 울산지역본부장, 박선민 한국무역협회 울산지역본부장, 박병국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울산지원본부장, 신민철 한국무역보험공사 울산지역본부장, 이준호 울산경제일자리진흥원 기업지원부장 등 수출 관계 기관 대표 1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 및 자동차·반도체 추가 관세 조치가 지역 주력 산업인 자동차 관련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원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실제로 울산은 지난해 대미 자동차 수출액이 150억1800만 달러로, 글로벌 자동차 수출액 273억6700만 달러의 54.8%를 차지할 만큼 미국 시장 의존도가 높아 이번 관세 조치가 현실화될 경우 큰 위기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
회의에서는 박선민 한국무역협회 울산지역본부장이 울산 지역 수출 동향과 미국 통상 정책에 대해 보고했다. 이어 참석자들은 기관별 수출 지원 사업과 기업의 애로사항을 공유하며, 지자체 차원의 협력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자동차 부품을 포함한 지역 중소기업들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금 지원, 수출 상담, 판로 확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지원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시는 이번 회의를 계기로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통상정책 비상 대응 전담반(TF)’을 본격적으로 가동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지역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수시로 청취하고, 빠른 대응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이달 중으로 자동차 부품업체 등 수출기업 현장 간담회를 열어 애로사항을 듣는 등 현장 밀착 지원을 펼친다.
수출시장 다변화를 위한 전략도 추진된다. 시는 싱가포르와 베트남을 포함한 동남아 시장으로의 수출 확대를 위해 무역사절단을 파견할 예정이며, 중동 시장 개척단도 운영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수출 중소기업 및 위기 기업 지원 예산의 80.5%인 20억1200만원을 상반기에 조기 집행해 기업들이 신속하게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환율 변동으로 인한 수출 기업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대책도 마련된다. 이를 위해 시는 수출 보험 보증료 지원(1억9700만원)과 국제 특송 해외 물류비 지원(1억원) 사업비를 이달 중으로 집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울산 지역 수출 기업들의 부담을 완화하고, 해외 시장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목표다.
이영환 울산시 기업투자국장은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는 울산의 자동차 부품업계를 중심으로 지역 경제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울산 수출의 안정적 성장을 유지하고, 지역 중소기업의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