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침체와 정부의 연구개발(R&D) 예산 감축으로 인해 울산 울주 강소연구개발특구 내 연구소기업이 한때 감소세를 보였으나, 지난해부터 다시 증가세를 보이며 기업 육성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13일 울산시에 따르면, 울산 울주 강소연구개발특구 내 연구소기업 수는 2021년 12곳에서 2022년 7곳, 2023년 4곳까지 줄어들었다. 하지만 지난해 8곳으로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전국적으로 연구소기업 폐업이 급증하는 가운데 오히려 울산은 연구개발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연구소기업의 경영난이 심화되면서 2018년 28건이었던 연구소기업 등록 취소 건수가 2023년 232건으로 급증했다. 특히 지난해 등록 취소된 232건 중 청산·파산·해산·휴업·폐업이 92건(39.7%)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기도 했다.
이전까지 연구소기업의 등록 취소 주요 원인은 ‘특구 외 이전’이었지만, 지난해부터는 ‘경영난에 따른 폐업’이 가장 큰 원인으로 떠올랐다. 고금리·고물가·고환율의 장기화와 정부의 R&D 예산 감축 등이 연구소기업 경영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같은 기간 울산에서는 기업 사정으로 인한 폐업이 1곳에 불과했다. 대부분의 연구소기업이 공장부지 확보 등을 이유로 특구 외 지역으로 주소지를 이전하면서 등록 취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연구소기업 유치 및 육성’을 위해 2023년 연구소기업 수가 4곳까지 감소했을 때, 일반 창업 외에도 UNIST(울산과학기술원)와 울산대학교의 교원창업기업을 연구소기업으로 편입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그 결과 닥터일렉, 한국전지안전, 에프엠브이, 루시투앤 등 4곳의 연구소기업이 추가 등록되면서 기업 수가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울산 울주 강소연구개발특구는 2020년 특구로 지정된 이후, 이차전지 특화 지역으로 육성되고 있다. 시는 2021년부터 올해까지 총 207억3000만원(국비 154억원·시비 53억3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기술이전 및 출자 19건, 투자 연계 40억원, 237개 일자리 창출, 매출액 63억원 등의 성과를 거뒀다. 강소특구 내 기업에는 법인세·취득세·재산세 감면 등의 세제 혜택과 함께 규제 특례 등 행·재정적 지원이 제공된다.
시는 연구소기업을 지속적으로 유치하고 지원하기 위해 R&BD(연구개발 및 사업화) 과제 지원, 혁신 주체 간 네트워크 운영, 시제품 제작 지원, 해외 마케팅 지원 등을 추진 중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강소특구 육성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연구소기업 설립과 유치를 확대하고, 이를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오상민기자·주하연수습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