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 경제에 또다시 ‘관세 쓰나미’가 덮쳤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전 세계를 대상으로 기본관세(10%)와 국가별 상호관세(최대 25%) 부과 방침을 발표하면서,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울산 산업계가 직격탄을 맞게 됐다. 특히 울산 수출의 26.6%를 차지하는 대미 수출에만 최대 8조6000억원(59억달러) 규모의 추가 관세 부담이 예상돼, 자동차·철강·화학업계가 ‘대미 수출 축소·생산량 조정’ 등 비상 대응에 나섰다.
3일 한국무역협회 울산지역본부에 따르면, 2024년 울산의 대미 수출은 총 234억달러(약 31조원)로, 울산 전체 수출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가장 중요한 전략 시장이다.
이번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로, 울산 주력 수출품인 자동차·자동차 부품, 철강 등은 25% 상호관세 부과 대상으로 발표됐다.
울산의 대미 수출 중 68.3%를 차지하는 자동차·자동차 부품은 이미 지난달 26일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25% 품목별 관세가 예고된 상태다.
다만, 정부와 한국무역협회에 의하면 이번 상호관세에서는 자동차·자동차 부품, 철강·알루미늄 등 이미 품목별 관세가 적용된 품목은 예외 처리돼 관세가 누적 적용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조치로 상호관세가 적용되는 나머지 품목에 대해서만 최대 59억달러(약 8조6000억원)의 관세 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증권 업계에서는 관세 여파로 현대차의 연간이익 감소폭이 3조4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역 수출업계 관계자는 “주력 수출품에 품목별 관세에 이어 상호관세까지 적용돼 수출경쟁력 약화는 불가피하다”며 “대미 수출물량 조정, 생산라인 감축 등 구조적 대응책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번 미국의 관세 조치는 한국뿐 아니라 중국(34%), 베트남(46%), 대만(32%) 등 주요 교역국에 상호관세를 적용해 세계 무역질서에 충격파를 던지고 있다. 한국의 상호관세율은 25%로 주요국과 비교해 낮은 편이지만, 한미 FTA 체결로 기존 관세율이 0%였던 상황을 고려하면 울산 수출업계의 체감 충격은 더 크다.
울산 무역업계는 미국 수출을 겨냥한 직접 관세뿐 아니라 중국·베트남 등 울산기업이 생산기지를 둔 국가들의 대미 수출까지 위축될 경우, 글로벌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울산 제조업은 고립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정부는 이날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주재로 긴급 민관 합동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기업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고위급 및 실무급의 대미 협의를 적극적·입체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미 정부의 관세 부과로 영향을 받을 업종에 대한 구체적인 영향 분석과 함께 긴급 지원대책도 조속히 마련하기로 했다.
통상 전문가들은 이번 상호관세 조치에 대응해 비관세 장벽 완화, 대미 투자 카드, LNG 수입 확대 등 협상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울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도 이미 지난 2월28일부터 ‘관세 피해애로 신고센터’를 운영 중이다. 또 피해기업을 대상으로 정책자금 패스트트랙도 가동하는 등 기업 지원 유관 기관 등에서도 대비 태세를 갖추고 있다.
오상민기자 sm5@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