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 지역 레미콘 산업이 연쇄적인 충격에 직면하고 있다. 장기화되는 건설경기 침체와 시멘트 가격 급등에 이어, 미국이 한국산 수입품에 상호관세 25% 부과를 공식화하면서 지역 산업 전반에 부담이 확산되고 있다.
6일 지역 레미콘 업계에 따르면, 올해 울산의 레미콘 생산량은 전년 대비 약 80%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부산·양산 등 인근 지역은 가동률이 20%대까지 추락했고, 조업 중단 사례도 이어지는 등 울산은 아직 ‘선방’하고 있는 수준이다.
울산의 레미콘 출하량은 지난 2016년 420만㎥로 정점을 찍었다. 하지만 불과 3년 만인 2019년 203만㎥로 반토막이 난 뒤, 긴 침체 구간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당시 울산신항 개발과 산업단지 확장 등 대형 인프라 사업이 집중됐지만, 이후 민간 경기 위축과 수요 감소로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한 해 동안 지역 건설수주액은 5조6753억원으로 전년과 비교했을 때 반토막이 났다. 올 2월 수주액 역시 2348억원으로 전년 동기(2568억원) 대비 9% 가까이 빠졌다. 민간·공공 가릴 것 없이 수주가 위축되며, 레미콘 수요 감소가 가시화되고 있다.
이에 업계에서는 ‘대형 현장 물량 투입이 종료되는 순간, 울산도 급전직하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현재는 울산 울주군 삼남읍 오뚜기 글로벌 물류센터 등 일부 대형 프로젝트 덕분에 버티고 있지만, 최근 이차전지 양극소재 공장 증설 공사가 중단되는 등 지역 건설 환경은 전반적으로 악화되는 분위기다.
더욱이 생산원가의 약 30%를 차지하는 시멘트 가격은 2021년 t당 7만5000원에서 2024년 11만2000원으로 3년 새 42% 넘게 인상됐다. 시멘트 가격은 치솟고 있는 반면, 납품 단가는 오히려 인하 압력을 받고 있어 팔수록 손해인 구조가 고착화되고 있다는 게 현장 반응이다.
특히 미국은 지난 2일 한국산 제품에 대해 기본관세 10%에 더해 상호관세 25%를 공식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총 35%의 관세 장벽은 자동차·석유화학 등 울산 주력 산업의 수출 경쟁력을 직격하며, 이로 인한 산단 개발·신규 착공 수요 감소는 레미콘 산업에도 연쇄 충격을 예고하고 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의하면, 지난 2월 공사비지수는 131.04를 기록하며 2020년 대비 30% 이상 상승했다. 인건비와 자재비가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원자재 가격 부담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울산은 여전히 ‘그나마 낫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건설경기 침체와 관세 충격이 장기화되면 버팀목조차 무너질 수 있다”면서 “정부의 인프라 투자 확대와 원자재 가격 조정, 통상 외교 강화 등 다방면의 대응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오상민기자 sm5@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