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중공업·미포조선 등 울산 조선사 21척 점유
상태바
HD현대중공업·미포조선 등 울산 조선사 21척 점유
  • 서정혜 기자
  • 승인 2025.04.0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한국 조선업계가 LNG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선별 수주로 올해 1분기 전세계 발주량의 40%를 꿰찬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미포 등 울산 조선업계는 국내 업체의 올해 1분기 수주량 37척 가운데 21척을 점유했다. 사진은 울산 현대중공업 전경. 경상일보 자료사진
한국 조선업계가 LNG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선별 수주로 올해 1분기 전세계 발주량의 40%를 꿰찬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미포 등 울산 조선업계는 국내 업체의 올해 1분기 수주량 37척 가운데 21척을 점유했다.

7일 영국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세계 선박 발주량은 503만CGT(표준선 환산톤수 159척)으로 나타났다.

특히 울산을 비롯해 국내 조선업계는 이 가운데 201만CGT(37척)을 수주해 89척을 수주한 중국(214만CGT)과 비교해 적은 선박을 건조하고도 CGT(표준선환산톤수)가 높게 나왔다. CGT(표준선환산톤수)는 선박의 부가가치, 작업 난이도 등을 고려해 산출한 단위로 LNG 운반선, LNG 연료 추진선 등 고부가가치·친환경 선박일수록 값이 크다.

한국 조선업계의 수주량을 월별로 보면 1월에는 발주량 146만CGT(51척) 가운데 90만CGT(13척)를 수주해 점유율은 62%를 기록했다. 같은 달 중국은 27만CGT(21척)을 수주해 수주 점유율은 19%에 그쳤다.

하지만 2월 들어 중국이 전체 발주량(207CGT·50척)의 65%인 135CGT(37척)을 수주하고, 한국(29CGT·7척) 수주량이 주춤하면서 중국이 크게 앞질렀다.

이후 한국이 3월 전세계 발주량(150만CGT·58척) 가운데 절반 이상인 82만CGT(17척)을 수주해 중국(52만CGT·32척·점유율 35%)을 크게 앞지르면서 수주 1위를 탈환했다.

이에 올해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미포 등 수주 현황을 살펴보면, 고부가가치 선박인 대형 컨테이너선과 LNG 벙커링선 등이 주를 이룬다.

다만 일각에서는 국내 조선업계가 호황기를 이어가는 가운데 올해 고부가 선박 중 하나인 LNG 운반선 신조 발주도 둔화할 것으로 전망돼 변수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는 지난해 말 ‘해운·조선업 2025년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LNG 개발 프로젝트 감소와 LNG선 비정기 단기 운송계약 운임 하락 등으로 글로벌 LNG선 신조 발주량이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국내 조선업계가 반사이익을 볼 것으로 전망되지만 한편으로는 선박 가격 하락이 지속되고, 고부가 선박 중 하나인 LNG선 발주가 줄면서 국내 조선업계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서정혜기자 sjh3783@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산업수도 울산, 사통팔달 물류도시로 도약하자]꽉 막힌 물류에 숨통을
  •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보상절차·도로 조성 본격화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