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간사위원으로서 활동 중인 박 의원은 울산시가 공모에 참여한 ‘분산에너지특화지역’ 지정이 조기에 반드시 실현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줄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분산에너지특화지역으로 지정되면 전력 직거래 허용 및 각종 규제 특례가 적용돼, AI 데이터센터 등 고에너지 수요 산업을 포함한 미래 핵심산업의 집적 육성과 정주 여건 개선이 기대된다.
울산시는 미포 및 온산국가산업단지 일원 6600만㎡를 대상으로 ‘전력수요 유치형’ 및 ‘신산업 활성화형’ 유형으로 공모에 참여했다.
박 의원은 “전국 11개 지자체 간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울산이 반드시 선정될 수 있도록 산업부 차원의 선제적이고 실질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또 박 의원은 울산에 전기차 전용공장 유치의 당위성을 설명하며 차세대 배터리 기술인 CTP(Cell to Pack), CTB(Cell to Body) 등을 기반으로 한 전기차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술 인프라 확충과 정책 지원도 건의했다 .
박 의원은 “정부가 추진 중인 전기차 국가전략산업 육성과 연계해 울산이 친환경 모빌리티 산업의 중심지로 거듭날 수 있도록 기술 인프라 확충에 대한 과감한 투자와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며 협조를 요청했다.
박 의원은 온산국가산업단지의 ‘국가산단 경쟁력 강화 사업지구’ 지정을 통해 노후산단을 첨단산업 기반으로 탈바꿈시켜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박 의원은 “지속가능한 첨단산업단지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조 고도화가 시급한 시점”이라며, 온산산단이 다시 한번 지역 산업의 중심축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정부의 실질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안덕근 산업부장관은 “울산시의 주요 사업들을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답했다고 박 의원실은 전했다.
박성민 의원은 “울산의 미래성장은 기존 제조업을 넘어 첨단 신산업으로 빠르게 전환하는 데 달려 있다”며, “앞으로도 중앙정부와 긴밀히 협력하며 울산이 글로벌 산업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전상헌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