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상공회의소는 24일 지역 기업 96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트럼프 2기 출범에 따른 울산기업인 의견조사’를 발표했다.
울산 기업들은 지역 경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정책·환경 변화로 ‘보편관세 도입 등 수입제한 강화’(61.5%)를 꼽았다. ‘미국 내 생산 확대 요구’(15.6%), ‘대중국 제재 강화’(12.5%), ‘화석연료 확대 등 에너지·환경 정책 전환’(9.4%) 등이 뒤이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기업 매출·업황의 변화에 대해서는 ‘영향이 없다’는 기업이 다수(63.5%)였다. ‘부정적’이라는 기업은 34.4%였다.
울산 기업들은 대내외 경제·통상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세부적으로는 ‘환율 변동 리스크 관리’ ‘인건비 등 고정비 절감’(17.7%), ‘유럽·동남아 등 대체 시장 개척’(14.6%), ‘R&D 투자 확대’(10.4%), ‘정부 지원 정책 활용’(7.3%), ‘원자재 수급 전략 변경’(6.2%), ‘미국 내 생산시설 확대 검토’(4.2%) 순이었다.
다만, 응답 기업의 17.1%는 ‘아직 대응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특히 대응계획을 수립하지 못한 기업 중 절반 이상은 중소기업으로, 지역 중소기업의 대내외 정책변화 대응 역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기업은 정부에 바라는 지원 정책으로 ‘관세·무역규제 협상 등 적극 대응’(46.9%)을 최우선으로 꼽았다. ‘자금조달 지원 강화’(21.9%) ‘수입 관세 및 기술 투자에 대한 세제 확대’(16.6%), ‘정책정보 제공’(10.4%), ‘수출기업 맞춤형 컨설팅 지원’(4.2%) 등이 뒤이었다.
울산상의 관계자는 “제조업 중심의 지역 산업 구조와 자동차, 자동차부품, 석유화학 등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주력산업의 특성을 감안하면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통상정책은 지역경제에 중대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며 “특히 중소기업의 대응력 제고를 위한 정보 제공과 맞춤형 지원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서정혜기자 sjh3783@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