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울산시와 5개 구·군의 ‘2024년도 울산 지역 일자리 목표 공시제 추진 실적’에 따르면, 울산시는 지난해 일자리 창출 8만6130명을 기록, 목표(7만1473명) 대비 120%를 달성했다.
기초지차제 중에선 중구가 목표(1만690명) 대비 1만3176명 실적을 기록해 달성률 123.2%로 가장 높았고, 울주군(1만2396명)도 117.4%를 달성했다. 북구와 남구는 각각 106.8%, 110.5%를 기록했으며, 동구 역시 102.6%로 목표를 넘어섰다.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2025년도 일자리 목표를 전년보다 상향 조정했다. 중구는 1만1261명, 남구는 1만7000명, 동구는 7715명, 북구는 8200명, 울주군은 1만3911명을 올해 창출 목표로 설정했다.
일자리 대책은 공공부문 직접일자리, 민간연계형 고용장려금, 청년창업 지원, 노인사회활동 지원 사업 등 지역 맞춤형 고용 프로그램을 종합한 것이다. 특히 청년층과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일자리 사업 비중이 높다. 올해 목표 상승 폭 역시 노인일자리 사업 확대가 주도한 것으로 분석된다. 고령화 심화에 따라 노인 사회활동 지원 인원과 예산을 대폭 늘렸고, 이는 일자리 창출 목표 수치 증가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고용지표에서도 긍정적인 흐름이 나타났다. 올해 3월 기준 울산의 고용률은 61.2%로, 전년 같은 달(59.8%)보다 소폭 상승했다. 경제활동참가율도 62%를 유지하며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청년 고용 상황은 여전히 악화된 모습이다. 지난해 4분기 울산의 청년층 실업률은 7.7%로, 전국 17개 시도 중 두 번째로 높았다. 전국 평균(2.8%)보다 2.75배에 달한다.
비경제활동인구 추이도 같은 흐름을 뒷받침한다. 울산의 비경제활동인구 중 육아, 가사, 통학을 제외한 기타 사유는 지난해 3월 6만5000명에서 올 3월 6만7000명으로 2000명 증가했다. 특히 통학 인구가 줄어든 반면, ‘그냥 쉬는’ 인구는 늘어나면서 청년층 중심의 비경제활동 확대가 반영됐다.
결국 울산은 지난해 지역일자리 대책을 통해 외형적 성과를 거뒀지만, 청년 고용 불안정이라는 구조적 문제는 여전히 과제로 남았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구직포기 청년층의 노동시장 복귀를 위해 올해 청년 취업박람회 확대, 취업 멘토링 프로그램 강화 등 실질적인 지원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상민기자 sm5@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